"상반기 체감 실업률 지표보다 2배 높다"

삼성경제硏 보고서

"상반기 체감 실업률 지표보다 2배 높다" 삼성경제硏 보고서 경제주체들의 체감실업률이 경제통계상의 지표실업률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같은 체감실업률과 지표실업률간 괴리현상이 지속되고 확대될 가능성까지 있어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고용창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삼성경제연구소가 14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체감실업률은 7.0%로 같은 기간 지표실업률인 3.6%의 2배에 육박했다. 체감실업률은 지표실업률을 계산할 때 들어가는 실업자(돈을 벌기 위한 근로시간이 1주일에 1시간 미만)에 취업 의사와 능력은 있지만 구직을 포기한 실망실업자를 더하고 전체 임금근로자의 임시직과 일용직 비중까지 고려한 것이다. 체감실업률은 지난 2001년 5.7%, 2002년 6.2%, 2003년 8.0% 등으로 2001년 3.8%, 2002년 3.1%, 2003년 3.4% 등인 지표실업률에 비해 2배 안팎의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 6월 기준으로 졸업 및 중퇴자인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은 12.3%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돼 전체 체감실업률보다도 훨씬 높고 지표상의 청년실업률 7.8%와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손민중 연구원은 이처럼 체감실업률과 지표실업률간 괴리가 발생한 것은 실망실업자가 비경제활동 인구로 편입돼 착시현상이 일어나고 임시직과 일용직의 비중이 늘어 취업구조가 더욱 불안정해진데다 졸업ㆍ중퇴 등 취업준비 중인 청년층이 비경제활동 인구로 편입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윤혜경기자 light@sed.co.kr 입력시간 : 2004-09-14 17:26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