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분쟁 접고 교역 확대" 인도·중국 화해모드

인도 경제회복 돌파구 찾기
중국은 미 견제 차원 협력 필요


경기 둔화에 직면한 인도는 다른 국가와의 교역 확대를 통해 경제 활성화의 돌파구를 찾고있다.

특히 접경국이자 세계 최대 인구를 보유한 중국과 경제 협력을 강화해 투자 유치 및 무역 규모 확대를 모색중이다. 신흥경제권인 브릭스(BRICS)의 양대 주자로 꼽히는 두 국가의 인구를 합하면 25억명으로 전세계 인구의 약 38%에 달하는 만큼, 양국간 교역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란 계산에서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6월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원자바오 당시 중국 총리와 양국간 무역 규모를 오는 2015년까지 1,000억달러로 확대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올 3월 취임한 리커창 중국 신임 총리도 지난 19~21일 첫 해외 순방국으로 인도를 방문해 이 같은 방침을 재확인했다. 중국 역시 대(對)인도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리 총리는 싱 총리와의 연쇄 회담을 갖고 "중국과 인도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의 시장 수요를 창출하고 엄청난 성장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면서 "세계 경제의 새 엔진을 만들자"고 강조했다.

하지만 6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인도와 중국간 해묵은 국경 분쟁은 양국간 경제 협력의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 2001년 20억 달러에 불과하던 인도와 중국간 교역 규모는 2004년 100억달러를 돌파한 후 2011년 756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급증하다가 지난해에는 678억달러로 전년 대비 11% 감소하며 주춤한 모양새다.

양국은 1962년 국경 문제로 전쟁까지 벌인 후 해결을 위한 메커니즘을 도입해 지금까지 15차례 협상을 해왔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에도 인도 북부 카슈미르 지역을 중국군이 침범하면서 3주 동안 양국군이 대치하다가 협상 끝에 이달 5일 철수했다. 이는 리커창 총리의 방문 직전에 일어나 국제적인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일단 이달 열린 총리 회담에서 양국은 군사ㆍ외교 및 경제 문제를 동시에 풀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국경 문제 해결을 위한 메커니즘을 개선하기로 하고, "양국 관계가 세계평화의 열쇠 역할을 한다"는데 인식을 함께 한 것이다.

중국 입장에서도 아시아ㆍ태평양에서 영향력을 키워가는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원자바오 전 중국 총리는 지난해 6월 "중국과 인도의 관계는 21세기 가장 중요한 파트너십"이라며 러브콜을 보냈으며, 이에 질새라 리언 패네타 당시 미국 국방장관도 인도를 방문해 "인도는 미국의 새 국방 전략의 핵심"이라며 구애 작전을 펼쳤다.

다만 인도의 대중 무역적자가 지난해 410억달러에 육박할 정도로 확대되고 있어 무역 불균형 해소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