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량, 바코드 수백배…즉시 가격비교도

온ㆍ오프라인 동시 사용 가능…도입 매장 매출 급증세

QR코드 인화성에 불을 댕긴 것은 뭐니 뭐니 해도 스마폰의 대중화다. 유통업체들이 광고나 전단지 혹은 웹사이트에 모두 담아내지 못했던 상품소개나 서비스의 연결고리 역할을 스마트폰이 해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측면에서 유통업체들은 QR코드를 온ㆍ오프라인 마케팅을 하나로 엮어줄 단초로 보고 있다. ◇스마트폰이 QR코드 리더기 역할=현재의 QR코드 바람은 ‘첨단 통신기기에 시대의 요구가 맞아떨어진’결과물로 볼 수 있다. QR코드는 지난 1994년 일본의 덴소웨이브사(DENSO WAVE)가 처음 개발했다. 덴소웨이브사는 QR코드의 특허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규격을 공개, QR코드가 널리 도입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국내에는 1990년대 중반 SK텔레콤(네이트 코드), KT(핫코드), LG텔레콤(이지코드) 등 통신업체들이 QR코드의 활용을 시도했지만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QR코드를 읽으려면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필수적인데 당시에는 이 역할을 할 스마트폰과 무선 인터넷이 활성화되지 않았던 탓이다. 하지만 최근 스마트폰 이용자가 500만명을 넘어서고 무선 인터넷 사용도 개방되면서 QR코드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원산지부터 가격비교까지 단칼에 OK=QR코드는 선으로 구성돼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바코드와 달리 사각형의 평면(2차원)으로 정보를 담을 수 있어 정보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종전 바코드가 많아야 20자리 정도의 정보량 갖고 있었다면 QR코드는 이보다 적게는 수십배에서 많게는 수백배의 정보량을 취급할 수 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용량이 큰 동영상이나 음성은 인터넷 홈페이지에 연결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담을 수 있는 정보량이 많다 보니 상품의 원산지부터 최종 가격비교까지 검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 유통업체들이 QR코드 도입에 팔을 걷어붙인 이유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예컨대 한우ㆍ생선 등 신선식품의 경우 식품에 부착된 QR코드를 읽어 생산, 유통이력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쉽다”면서 “생산농가ㆍ농약사용ㆍ경작방법ㆍ요리방법 등과 같은 구체화된 정보도 QR코드를 통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오프라인 연결고리 역할도=이에 따라 QR코드를 활용해 가격을 비교하고 온라인 몰이나 오프라인매장에서 최저가로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신세계 이마트는 지난 7월 QR코드를 도입한 후 모바일 이마트몰 매출이 월 3,000만원 가량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11번가는 지난 6월부터 QR코드를 사용한 후 모바일 쇼핑 매출이 30% 가량 늘었고, 인터파크도 모바일 방문자가 10월에는 전월비 37%, 주문건수는 57% 증가 하는 효과를 거뒀다. 이에 따라 업계는 QR코드가 모바일커머스(휴대폰을 이용한 상거래) 활성화도 앞당겨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