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셋값 전망] 강남 '안정' 강북 '강세'

강남 입주 물량 2만5,000여가구 수요 비해 공급 늘어 보합권
강북은 뉴타운등 이주 수요 많아 역세권·소형 위주 상승 가능성
분양가 상한제, 전·월세 신고제등 내년 본격 시행 정책도 변수로


내년 가을쯤 결혼을 생각하고 있는 직장인 이 모씨는 신혼집으로 전세를 얻을 지, 대출을 받아서라도 집을 장만할 지 고민이다. 또 현재 사는 집은 놔두고 좀 더 넓은 규모의 전세를 찾아보려는 최 모씨는 어느 지역이 좋은지 궁금하다. 전문가들은 내년 전셋값이 서울의 경우엔 강남구, 강동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 지역과 그 외 비(非)강남에 따라 차별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강남 지역은 안정세, 강북 지역은 강세가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전세를 구하려면 강남 쪽에, 강남에 전세를 구하기가 버겁다면 대출을 받아서라도 비강남 지역에 내 집을 마련하는 게 낫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지금도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태이기 때문에 전세 시장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강남에 입주물량 넘쳐난다=내년 전셋값이 강남 안정세, 비강남 강세로 요약되는 이유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으로 쉽게 설명된다. 닥터아파트의 자료에 따르면 내년에 강남 지역에서 입주가 예정돼 있는 물량은 총 2만5,884가구로 비강남의 2만1,026가구보다 4,800여 가구가 더 많다. 강남 지역의 입주 물량이 비강남보다 많았던 때는 닥터아파트가 자료를 집계하기 시작했던 98년 이후 처음이다. 98년엔 비강남의 입주물량이 강남보다 10배 이상 많았지만 비강남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줄어드는 반면 강남은 2001년부터 상승 곡선을 타기 시작해 마침내 역전됐다. 반면 전세 수요는 강남보다 비강남 지역이 더 많다. 재개발, 뉴타운 등이 주로 비강남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현재 비강남에서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곳만 미아동, 전농동, 휘경동, 아현동, 공덕동, 고척동 등 여러 곳이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팀장은 “재개발 사업지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공사 기간에 임대로 살다가 다시 들어가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주자들의 수요가 많은 비강남 지역에선 역세권, 소형 위주로 전셋값이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함 팀장은 또 “그러나 강남 지역 전세 수요는 예년과 비슷하지만 공급이 많아 올해와 같은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분양가 상한제, 전셋값에 영향 주나=수요, 공급 외에 내년에 도입되거나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정책이 전세 시장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 중 하나가 분양가 상한제다. 분양가 상한제란 건설업체의 분양가가 일정 한도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제도가 시행되면 집값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집을 사려던 잠재 수요자들이 매수 시기를 뒤로 미뤄 전셋값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상언 유앤알 대표는 “내년 2분기 이후에 민간 부문에서 분양가 상한제가 본격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여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매수 시기를 늦출 수 있다”며 “이 경우 중소형의 전셋값이 다소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전ㆍ월세 신고 제도의 법제화도 국회를 통과할 경우 일시적으로 전셋값을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전ㆍ월세 신고 제도란 임대인(중개업자를 통한 경우에는 중개업자 포함)이 전ㆍ월세 임대차 계약을 맺으면 1개월 내에 시, 군, 구청장에게 신고하도록 한 제도다. 이 경우 임대인들은 임대 소득세를 내야 하는데 이를 세입자에게 전가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 연 5%의 전셋값 인상률 상한선을 재계약 시에도 적용하겠다는 안이 검토 중인데 이 안이 통과될 경우 법 시행전에 미리 전셋값을 올릴 가능성도 있다. 함영진 팀장은 “신고제도나 5% 상한제 모두 집주인에게 부담이 되는데 이는 임차인에게 전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