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일류기업 늘어도 기업문화는 아직 낙제점”

대한상의, 직장인 대상 조사 결과 평균 59점…”상명하복 탈피해 창의적 기업문화로 거듭나야”

우리의 기업문화 수준이 글로벌 기업들과 비교해 아직 60점에도 못 미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선 ‘상명하복’의 풍토에서 벗어나 직원들의 창의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업문화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의 직장인 500여명을 대상으로 '창조경제시대의 기업문화 실태와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구글, 페이스북 등 기업문화가 창의적인 기업을 100점이라고 할 때 자사의 기업문화가 몇 점인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이 매긴 점수의 평균은 59.2점이었다. 기업규모별로 대기업은 65.7점, 중견기업은 63.1점, 중소기업은 57점으로 집계됐다.

기업문화 점수가 낮은 이유(복수응답)에 대해 61.8%가 '상명하복의 경직된 의사소통 체계'를 꼽았다. 이어 '개인보다 조직을 강조하는 분위기'(45.3%), '부서 이기주의'(36.7%), '지나친 단기 성과주의'(30.7%) 등을 들었다.

조직 내 불통으로 인한 구성원간 갈등도 또 다른 문제점으로 지목됐다. 직장인의 68.5%가 ‘직장 내 상사나 선배와 갈등이 있다’고 답했으며, 갈등의 이유로 ‘업무와 관련해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서’(67.2%)를 꼽았다.

자신이 속한 직장이 보수적 기업문화를 갖고 있느냐는 물음에 대다수의 직장인이 '그렇다'(71.5%)라고 답했다. 그 이유에 대해 65.5%는 '최고경영자(CE0)의 의식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설문 대상자들의 87.8%는 ‘창조경제시대에 걸맞은 기업문화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상의는 '워크 하드'(열심히 일하기)가 아닌 '워크 스마트'(똑똑하게 일하기) 분위기가 기업 전반에 확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창조시대를 맞아 기업문화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직장 내 아이디어 제안제도를 활성화하고 창의적인 시ㆍ공간을 적극 활용해 창조적으로 일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직장 내 아이디어 제안제도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없거나 있어도 유명무실하다’(56%)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또 고객이나 외부전문가의 아이디어를 기술개발, 마케팅 등에 활용한다는 기업은 전체의 14.1%에 불과해 ‘조직의 폐쇄성’도 창조경영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창조경제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차별화된 개성과 이미지를 창출하는 기업문화의 중요성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며 “한국기업 특유의 상명하복의 보수적 문화를 벗어나 자유로운 의사소통,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의견 개진을 촉진하고 실패에 대해서도 책임을 묻거나 비판하는 대신 새로운 도전기회를 주는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