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이 29일 4·29 재보궐선거에서 압승을 거둠에 따라 야권의 역전을 기대케 했던 ‘성완종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증명됐다. 새누리당은 연초에 터진 ‘정윤회 게이트’와 ‘연말정산 파동’,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의 뇌물수수 의혹이 담긴 ‘성완종 리스트’까지 끊이지 않는 여권발 악재 속에서도 승리를 거머쥐며 ‘위기관리능력’을 뽐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호기 속에 치러진 연이은 선거에서 패배를 거듭하며 전략 부재의 한계를 드러냈다.
선거 초반 야당의 4:0 전패 시나리오가 유력시되는 가운데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일파만파 퍼지면서 선거 판세가 뒤집힐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랐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참여정부에서 단행된 사면비리 의혹을 들고 나온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와병 중 메시지를 통해 사면비리 의혹 부각에 정점을 찍으면서 ‘성완종 효과’는 사라지고 여권 결집의 역풍이 분 것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선거결과에 대해 새누리당의 두꺼운 콘크리트 지지층과 통상 선거참여율이 낮은 재보선이라는 점을 전제하면서도 “새정치연합은 이길 수 있었던 환경이었다”며 야권의 위기 활용능력을 지적했다. 최진 경기대 교수는 “여권의 악재를 정권심판으로만 가져가는 일변도 전략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여권이 위기에 빠졌다고 야권이 비판만 한다면 유권자들이 야권에 넘어오는 시대는 이제 끝이났다”며 “정치자금법에 대한 정책적 대안, 깨끗한 정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며 유권자들에게 긍정적인 언어로 승부수를 띄워야 했다”고 지적했다. 야권의 공세가 유권자들의 정치적 피로도를 높였을뿐더러 무당층을 사로잡는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당 관계자도 “한 언론의 보도로 커진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대해 지도부는 초반의 ‘신중한 접근’을 계속 유지해야 했다”며 “가만히 있어도 여권이 비수가 될만한 보도가 쏟아져 나오는 상황임에도 또다시 정쟁의 한복판에 선 것은 악수”라고 비판했다. 또 언론에 제기된 수준 이상의 의혹도 새롭게 제기하지 못하면서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홍준표 경남도지사 등 메모에 적시된 당사자들의 사퇴 주장만 되풀이한 점도 ‘악수’로 꼽았다.
정치권은 ‘성완종 효과’를 상쇄시킨 외부 요인으로 천정배·정동영 전 의원의 야권분열과 새정치연합의 모래알 조직력을 지목했다. 거물급 야권 인사인 천·전 의원 등장으로 정권심판론의 효과가 줄어들었고 되려 야권 쇄신을 요구한 이들의 돌풍에 성완종 효과는 자취를 감췄다는 것이다. 아울러 새누리당이 참여정부에서 성 전 회장의 사면비리 의혹을 제기하자 같은 당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인 이상민 의원이 “사면법 정면 개정을 추진하겠다”며 참여정부의 잘못을 주장하는 등 당내 불협화음도 참패의 단초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당 관계자는 “이 의원의 주장이 옳다고 생각하지만 굳이 선거를 앞두고 이런 발언을 해야 했느냐”며 “새누리당 의원 전체가 나서 얼굴을 두껍게 하고 사면비리 의혹에 초점을 문 대표에게 두고 공세를 퍼붓고 있는데 이 의원의 발언은 시기적으로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