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30% 이상이 주택을 살 금전적 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여유자금이 생길 경우 부동산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밝혀 정부가 이들의 특징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쓴다면 부동산경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6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집 살 여력 있는 가구의 추계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기준으로 집을 살 여력이 있는 가구가 568만7,000가구로 전체의 31.3%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현대연은 통계청 등의 자료를 이용해 현재 보유 중인 금융자산과 가계부채, 채무금 상환능력, 부담되지 않을 수준의 대출 규모를 고려해 '집 살 여력 있는 가구'를 추산했다.
이들의 특성을 보면 주택을 보유한 가구가 424만8,000가구(전체의 74.6%)로 대부분이었지만 무주택가구도 143만9,000가구(25.4%)나 됐다. 자가주택 거주 가구는 전체의 60.9%였으며 전세 거주자는 28.2%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가 전체의 65.5%였으며 혼인가구가 84.7%였다. 또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 중 96.8%는 중고소득층 가정에 속했다.
현대연은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 가운데 주택이 있는 가구의 51.8%, 주택이 없는 가구의 67.5%가 여유자금이 생길 경우 부동산에 투자하겠다고 응답했다"며 "정부가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경우 주택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주택자를 대상으로는 상속·증여 목적으로 신규·미분양 주택을 구입할 경우 세제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무주택자에게는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지원대책을 활용할 수 있게 제도를 효율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또 주택투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김광석 현대연 선임연구원은 "집 살 여력이 있음에도 부동산투자를 꺼리는 주된 이유가 부동산 가격 불확실성(48.8%)과 부동산 정보 부족(17.7%)으로 나타났다"며 "정부가 이런 상황도 고려해 정책을 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