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대선의 화두는 뭘까.
열린우리당이 붕괴조짐을 보이면서 정치권 전체가 급속도로 대선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친노(親盧)와 반노(反盧)의 정면 충돌’로 까지 표현되는 여권의 분열은 이르면 연말 안에 어떤 형태로든 결말을 낼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도 박근혜ㆍ이명박ㆍ손학규 등의 유력 주자들이 대권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정치권 전체가 내년 12월 대통령 선거일에 시계침을 맞추고 움직여가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예비 대선주자들은 ‘한반도 대운하’ ‘한ㆍ중 열차 페리’ 등 국가 단위 프로젝트와 부동산ㆍ교육ㆍ대북 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정책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
경제 관련 약속들이 많다. 그만큼 ‘먹고사는 문제’에 있어서 민생이 고단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치솟는 부동산 가격은 집 없는 서민들에게 끝없는 낭패감을 주고 있고 소득의 양극화는 사회의 근간이라는 중산층의 몰락을 부추기고 있다. 또 심각한 청년층의 취업난과 실업은 미래마저 암담하게 하고 있다.
문제가 간단하지 않다. 벌써부터 누가 대통령이 되든 차기 대통령의 행보가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과거 대선이 거대 정치담론에 의지했다면 내년 대선은 민생문제ㆍ생활문제 해결이 제1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민생문제 해결을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가장 큰 덕목으로 꼽고 있다.
정치는 민생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상식에 입각해 해결하는 능력이다. 국민들은 고단함을 벗어날 수 있는 비전 제시와 경제회복을 차기 대통령에게 요청하고 있다.
단순히 수치나 지표에 나타나는 계량적인 발전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국내총생산(GDP)이 1~2%포인트 올라가는 것보다는 양극화 해소 등을 통한 지속 가능한 생활의 개선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부분에서 대선주자들은 막중한 책임을 느껴야 한다. 선거에 이기기 위해 정계개편 등 정치공학적 접근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다만 대통령직 자체가 모두가 되는 본말 전도는 곤란하다. 우리는 벌써 그 반면교사(反面敎師)를 충분히 경험했지 않은가. 2007년의 선택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