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을 통해 사이버 위협정보 분석 시간을 6시간에서 30분으로 대폭 단축했다.
16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청와대·국정원과 16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수립한 '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에 따라 지난 8월부터 사이버 위협정보 분석ㆍ공유 시스템을 본격 가동해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시간을 크게 줄였다고 밝혔다.
사이버 위협 정보 분석·공유 시스템은 주요 통신사와 포털·백신업체·보안업체 등 65개 기관에서 위협정보를 수집, 공유하는 방식으로 대응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또 행정ㆍ공공기관에 대한 지능화된 사이버공격을 예방하고 디도스 공격 등 해킹 방어능력을 높이기 위해 범정부 로그분석 시스템도 구축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국가 핵심시설의 보안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교통·에너지, 통신, 행정 등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지정을 지난해 209개에서 292개로 확대하고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차세대 보안리더 과정과 최정예 사이버보안인력 양성을 통해 최정예 화이트해커도 매년 240명씩 양성할 예정이다.
홍진배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과장은 "청와대를 컨트롤타워로 미래부와 국정원·국방부가 분야별 책임 체제를 확립했다"며 "사이버공격이 발생하면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를 갖췄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