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세 부위원장…"재정부 견제" 해석도

이창용 부위원장 "전광우 위원장과 호흡 맞을것"
徐공정위 부위원장 임명도 '친기업 정책' 겨냥

이창용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금융정책, 감독을 총괄하는 금융위 수장과 2인자 자리가 모두 민간 출신으로 채워지는 진기록이 탄생했다. 이 신임 부위원장은 임명 직후 본지와 가진 전화 인터뷰에서 “(민간 출신으로 채워진 것에 대해) 현재 뭐라고 말하기 그렇다. 하지만 잘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서울대 경제학과 선후배 사이로) 연배인 전광우 금융위 위원장과는 평소 잘 알고 있어 호흡을 잘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관료 출신이 유력시되던 부위원장에 이 교수가 임명된 배경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의중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신임 부위원장은 MB 핵심 인물 중 한명인 곽승준 청와대 국정기획구석과 같은 연배로 함께 인수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곽 수석과 더불어 MB 노믹스 수립에 적잖은 공헌을 한 인물로 꼽힌다. 일부에서는 이 같은 인선 배경을 놓고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을 견제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시각도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 교수는 곽 수석, 백용호 신임 공정거래위원장과 함께 이 정부의 경제정책 그림을 그린 소장 교수 3인방 중 한명으로 실세로 볼 수 있다”며 “이런 점에서 기획재정부도 상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 출신이 금융정책 및 감독 총괄 수장으로 채워지면서 새 정부가 추진하려는 금융 규제 개선과 금융산업의 글로벌화, 국책은행 민영화 등을 위한 세부 그림을 그리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위원장과 부위원장 모두 민간 출신으로 관료에 비해 실무 경험이 부족하고 관료조직을 이끌 수 있는 리더십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되고 있다. 부위원장이 임명됨에 따라 금융위 고위급 후속 인사도 곧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의 1급 자리 4개 가운데 실무를 총괄하는 사무처장에는 임승태(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 국장이 유력하고 금융위 상임위원 두 자리 중 하나는 민간 전문가, 나머지는 내부 출신이 채울 가능성이 크다. 국장급인 금융정책국장에는 김광수 국장, 금융서비스국장에는 김주현 국장, 자본시장정책관에는 홍영만 대변인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김&장 고문 출신으로 대통령직인수위 자문위원을 역임했던 서동원 공정위 부위원장 임명도 친기업정책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되고 있다. 행시 15회인 서 부위원장은 평소 출자총액제한제도 폐지 등 공정위 규제 완화를 주장해왔다. 서 부위원장은 옛 경제기획원과 공정거래위원회의 핵심 보직을 역임한 경쟁정책 전문가다. 공정위뿐 아니라 기획예산처 재정개혁단장과 재정개혁국장 등도 거쳤고 이명박 정부의 인수위 시절 경제1분과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새 정부 공정거래정책의 기틀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부인인 신혜경 전 중앙일보 경제부 선임 전문위원이 최근 청와대 국토해양 비서관에 발탁됨으로써 부부가 함께 이명박 정부에 참여하게 됐다. 공정위 위원장ㆍ부위원장 인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후속 인사 폭이 어느 정도 될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