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하위권으로 추락한 가계 저축률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이 갈수록 낮아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것으로 조사됐다. OECD가 내놓은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은 2.8%에 그쳐 관련자료를 제출한 20개 회원국 평균치 6.1%를 크게 밑돌았다. 덴마크ㆍ체코ㆍ호주ㆍ일본(2.7%)에 이어 다섯 번째로 낮은 수준일 뿐만 아니라 소비왕국으로 통하는 미국(5.7%)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가계저축률이 이처럼 급격히 낮아지고 있는 것은 소비성향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보다는 소비를 우선하는 풍조로 바뀌게 된 것이다. 또 높은 주택 가격과 물가상승 등으로 소비지출은 크게 늘고 있는 데 반해 소득증가율이 낮은 것도 저축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지난 1980년대 16.9%였던 연평균 가계소득 증가율은 1990년대 들어 12.9%, 2000년대에는 6.1%로 떨어졌다. 여기에 사교육비와 가계부채 증가, 저금리 기조 등도 저축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문제는 한번 낮아진 저축률은 좀처럼 높아지기 어렵다는 점이다. 내년에도 우리나라 저축률은 2.8%에 머물러 일본의 3.1%에 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아직 흑자상태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과거 최대 흑자 부문으로서 경제성장에 필요한 투자재원을 공급해온 가계 부문의 역할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가 늘어나는 대신 저축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다. 그러나 저축률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은 가계는 물론 국민경제에 위험신호라 할 수 있다. 특히 선진국에 비해 사회안전망이 취약한 우리로서는 가계저축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 속에 서민계층의 저축여력이 떨어지면 결국 정부의 복지부담은 그만큼 늘어날 수밖에 없다. 가계저축률이 과도하게 낮아지거나 적자 부문으로 전환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질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소득을 증대시켜나가야 한다, 소득이 늘지 않고서는 저축률이 높아질 수 없기 때문이다. 소비 측면에서도 사교육비ㆍ의료비 등의 부담을 줄이고 부동산시장 안정을 통해 주거비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과소비와 사치풍조를 멀리하고 건전하고 합리적인 소비행태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사회분위기 개선 노력도 강화돼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