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들은 `친분관계`나 `일종의 보험 성격`으로 정치자금을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설문에서 정치자금을 제공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CEO는 전체 설문대상자의 23%에 달했다. 이번 조사에서 정치자금 부문에 대해 `철저한 신분보장`을 약속했지만 당초 우려했던 대로 무응답 비율이 14%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한번도 없다`는 응답이 63%에 달해 정치와의 관계에서 아직 자유롭지 못함을 스스로 드러냈다.
정치자금을 냈다고 답한 CEO들은 `왜 제공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정치인과의 친분관계 때문`이란 응답이 63.1%, `(기업활동 등을 위한) 일종의 보험성격`도 22.7%에 달해 `정치자금=개인이나 기업의 이해`라는 등식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 밖에 `정치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냈다`는 응답도 13.6%에 달했다.
제공되는 정치자금 규모는 일반인의 통념과는 달리 5,000만원 이하가 47.8%로 가장 많았고, 2억원 이상은 하나도 없었다.
최근 논란이 됐던 `고해성사는 누가 해야 하는가`하는 질문에는 `정치권의 공개(41%)`나 `공개 자체를 반대(13%)`가 `기업의 자발적 공개(34%)`보다 우세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치자금 제공은 규모가 크건 적건 기업의 투명성과 신뢰도에 결정타”라며 “일선 CEO들은 정치자금 불똥이 튀는 것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치자금 양성화한 전제 조건`으로 정부 등 제3의 기관이 정치 자금 접수를 대행 처리, 정치권과 직접적인 접촉을 제한해 달라는 요구가 39%에 달했고, 정치자금 최대 한도 설정 등도 32%에 이르렀다. 또 `정치자금 공개 때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사용처 공개(55%)가 가장 많았으나 제공자 공개(18%)와 제공자 신분비밀 보장(16%) 등 상반된 의견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 관심을 끌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