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 등으로 인한 에이즈ㆍ간염 바이러스 감염사례를 지금의 8% 이하로 낮출 수 있는 첨단 검사방법이 내년 도입된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수혈 받거나 혈액제제를 투약하는 연간 650만 명의 국민들이 보다 안전한 혈액 및 혈액제제를 공급 받을 수 있게 된다.
5일 보건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혈액에 침투한 극소량의 바이러스도 검출할 수 있는 핵산증폭검사(NAT) 장비 등 도입 예산 38억여원이 추경예산에 반영됨에 따라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핵산증폭검사센터를 설립할 방침이다.
또 외국보다 지나치게 싼 혈액수가를 현실화, 핵산증폭검사 등에 소요되는 시약 값 등 연간 200억원 대의 유지비용을 조달하고 혈액안전관리 시설ㆍ장비 현대화 및 연구개발 재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그러나 선진국형 사후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국고지원을 요청한
▲혈액검체 및 혈장보관 냉동창고 건립비 38억원 중 일부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장이 혈액제제 원료로 쓰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5만ℓ씩 6개월간 보관하는 데 따른 손실보전비용(5년간 매년 40억원)은 예산에 반영되지 못했다.
핵산증폭검사는 에이즈바이러스(HIV) 등에 감염된지 1주~10일밖에 안돼 항체가 형성되기 전이라도 바이러스 자체를 1만배 이상 증폭, 감염 여부를 알아낼 수 있어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기존 효소면역측정법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보완할 수 있다.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에선 이미 90년대에 도입했다. 적십자사는 현재 효소면역측정법으로 BㆍC형 간염 및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있으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의 잠복기(window periodㆍ평균 11~82일)엔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