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대학이 뛴다] 김용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기술 환경안전성 확보 힘써야


지구촌 곳곳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사회·경제적 피해도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중 CCS 기술은 현재 확실한 이산화탄소 처리수단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기후변화가 미래에 인류에게 초래할지 모를 환경재앙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감축수단으로 주목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CCS 기술이 오는 205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량의 17%를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 선진국은 물론 가까운 일본까지도 2020년까지 CCS 기술 상용화를 위해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10년 7월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고 CCS 기술개발에 착수한 바 있다. 박근혜 정부는 CCS 기술을 기후변화 대응 6대 핵심기술로 지정하고 국가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CCS 기술 상용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특히 CCS 기술의 환경 안전성에 대한 일반대중의 우려를 해소하고 신뢰를 확보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CCS 기술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선진국보다 CCS 기술에 대한 투자가 늦어 아직 기술 수준이 낮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CCS 기술의 실현 가능성, 경제적 타당성을 비롯해 환경 안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투자가 계속된다면 미국·EU 등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세계 CCS 기술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우리나라 CCS 분야의 또 다른 강점은 환경기술 불모지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개발한 경험과 능력을 가졌다는 점이다. '여럿의 말이 쇠도 녹인다'는 속담처럼 모두가 지혜를 모아 노력한다면 우리가 시작한 이 작은 발걸음이 CCS 기술을 대한민국의 블루오션으로 만들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환경기술인들의 분발을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