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인 톈안먼 사태 25주년을 앞두고 중국 정부가 오는 3~4일 베이징 거주 외국인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등 최고 수위의 경계에 나섰다. 특히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테러 등이 잇따르면서 베이징 시내의 검문검색은 한층 강화됐다.
톈안먼 사태는 지난 1989년 4월 중국의 정치개혁을 주창하던 후야오방 전 공산당 총서기 사망을 계기로 거세진 대학생과 시민들의 정치개혁·민주화 시위를 계엄군이 6월4일 유혈진압한 사건이다. 당시 자오쯔양 공산당 총서기는 무력진압을 반대하다 실각한 후 17년간 가택연금을 당했다.
톈안먼 사태 25주년을 나흘 앞둔 지난달 31일 톈안먼 광장은 의외로 한산했다. 단오절 연휴 첫날인 만큼 고궁(자금성)에 들어가는 관광객들은 눈에 띄게 늘었지만 검문검색과 소총을 휴대한 무장경찰의 위압에 눌려 톈안먼 광장에 오래 머무는 관광객은 많지 않았다. 시내 중심가인 시단역에서는 형식적인 X레이 검색대 통과에 그치지 않고 휴대폰·카메라 등의 소지품을 일일이 검사하는 등 공항 보안검사 못지않은 삼엄한 경비태세가 갖춰졌다.
베이징 거주 외국인에 대한 통제도 간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세계 각국의 유학생들이 몰려드는 베이징 내 외국어학원과 국제학교 등은 톈안먼 사태 25주년을 전후한 2~3일 동안 반드시 등교하도록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고지했다. 이 기간에는 외국인 학생들이 톈안먼·왕푸징·시단·옹화궁 등 시내 중심 관광지와 대형 쇼핑몰 방문을 자제하도록 권유하기도 했다.
특히 언론과 민주인사에 대한 통제는 대폭 강화됐다. 이미 중화권 매체는 물론 외신의 톈안먼 사태 보도 통제에 들어간 중국 정부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블로그 등 인터넷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고 게시글이 국가 존엄성을 해치거나 반동적일 경우 처벌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톈안먼 관련 민주인사들은 아예 중화권에 발을 못 붙이게 했다. 홍콩에서 열리는 톈안먼 토론회에 참여하려던 대만 학자의 입경이 거부됐고 톈안먼 시위 당시 강경진압에 반대하다가 실각한 자오 전 총서기의 비서를 지낸 바오퉁은 베이징 밖으로 쫓겨났다고 전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정부가 중국 사회를 침묵시키는 작전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도할 정도로 예민한 중국 정부의 경계는 톈안먼 사태 25주년이 중국 민주화의 상징이라는 점에 더해 최근 신장위구르자치구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테러를 의식해서다. 신장위구르의 테러는 과거와 달리 대량 인명 살상을 노린 폭탄테러로 진화하며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한편 주요 외신들과 중화권 일부 매체들은 시진핑 시대에 톈안먼 사태가 재평가 받을 것이라는 당초의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시 주석의 아버지인 시중쉰이 자오쯔양 숙청을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항간에 고조되던 기대감은 지난달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이 "1980년대 말 중국에서 발생한 정치적 풍파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해 중국 정부는 이미 일찌감치 명확한 결론을 내렸다"고 밝히면서 사그라졌다. 탱크를 앞세운 무력진압으로 1,000여명에서 수천명(중국 정부 공식집계 875명)의 사망자를 낳은 톈안먼 사태에 대해 중국은 공산당의 과오를 인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사회주의 동란'으로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