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연구원 '외국자본 진출 확대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 작년 국내기업 배당수익률, 亞11개국중 세번째 낮은수준 외국인투자가 자본이득 관심…적대적M&A 가능성은 낮아
입력 2005.12.23 18:03:39수정
2005.12.23 18:03:39
외국인의 지분율이 높다고 해서 배당을 많이 하거나 투자를 적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실증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국내에 진출한 외국자본이 배당금을 과다하게 가져가고 경영권까지 위협해 국내 기업이 이에 대응하느라 투자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재계와 일부 시민단체의 주장과는 다른 것이어서 주목된다.
금융연구원이 23일 발간한 ‘외국자본 진출 확대의 영향과 대응방안’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8년부터 2004년까지 거래소 및 코스닥 상장기업 중 금융업을 제외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패널모형을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국인 지분율은 배당성향 및 투자와는 유의성 있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서 배당성향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자기자본이익률과 총자산, 전기(前期)의 총자산 대비 배당금액, 투자의 경우는 총자산, 총자산 대비 기초현금비율, 총자산 증가율 등이었다.
보고서는 실제로 국내 기업의 지난해 배당수익률(1주당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값)은 1.9%로 아시아 주요 11개국 가운데 일본과 인도에 이어 세번째로 낮은 수준이어서 외국자본이 우리나라에서 많은 배당을 챙겨간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또 대기업 집단 소속 일부 회사의 경우 대주주 지분이 외국인 전체 지분보다 적어 적대적 인수합병(M&A) 가능성이 높아보이지만 실제로는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진단했다. 외국인 투자가 대부분이 뮤추얼펀드 등 포트폴리오 펀드로 경영권보다는 자본이득에 관심이 있는 데다 단일주체가 아니고 이해관계도 달라 적대적 M&A를 위한 연합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삼성물산과 SK㈜ 등 일부 대기업에서 외국자본에 의한 M&A 시도가 발생한 것은 이들 기업에도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배 대주주 일가가 적은 금액으로 지나치게 많은 회사를 거느리고 있거나 계열사간 과다출자와 경영부실로 인해 출자회사의 시가총액이 피출자 회사에 대한 소유지분의 가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출자회사 할인(Parent Company Discount)’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이들 기업이 외국자본의 적대적 M&A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추가적 경영권 방어 장치를 요구하기 이전에 대주주가 지분을 늘리거나 여의치 않다면 이들이 지배하는 계열사를 줄이는 것이 올바른 방안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