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현재의 3.7%(지난해 말 기준)에서 11%까지 늘린다는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을 발표했지만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에너지 자립을 위한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꼽으면서도 향후 20년 동안 현재의 세 배 수준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것조차 만만찮다고 본 것이다.
서울경제신문의 설문조사에 응한 전문가 가운데 53.9%는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11% 미만에 그칠 것이라고 답했다. 정부가 제시한 목표치인 11%라고 답한 응답자는 10.1%에 불과했다.
주목되는 대목은 2035년 신재생에너지 비중으로 12~20%와 21~30%를 선택한 응답자도 각각 28.9%, 7.0%로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실적인 난관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에너지 자립을 꿈꾸는 우리나라의 최우선 당면과제임을 반영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신재생에너지를 늘리기 어려운 원인으로는 경제성 부족(65.6%)과 좁은 국토에 산지가 많은 지형적 한계(40.6%)가 가장 많이 꼽혔다. 부족한 정부지원(31.3%)과 더딘 기술개발(21.9%), 인식 부족(21.9%) 등도 극복해야 할 걸림돌로 지목됐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공공정책실장은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세계적 추세기 때문에 따라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을 통해 이른 시간 안에 산업의 경제성을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응답자 중 56.3%가 신재생에너지 확대(56.3%)를 통해 에너지 자립을 이뤄내야 한다고 답했다. 해외자원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은 43.8%, 에너지를 많이 쓰는 산업구조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견해는 40.6%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가장 유망한 신재생에너지로 태양광(75.0%)을 꼽았다. 또 풍력(28.1%)과 폐기물·바이오(18.8%), 수력·지열(18.8%) 등도 미래전망이 밝다고 복수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