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구조 후진국형으로 '추락'

제조업비중 급감, 소매업등 '생계형'은 급증 30% 육박
과당경쟁→동반몰락→양극화심화 요인으로


신설법인 가운데 도소매업 등 생계형 창업의 비중이 30%에 육박하는 등 우리나라의 창업구조가 갈수록 후진국형으로 변하고 있다. 이 같은 생계형 창업 비중은 1인당 국민소득 6,000달러인 멕시코와 비슷한 수준이다. 제조업 등 기업의 창업을 유도, 일자리를 창출하고 내수를 확대하겠다는 정부 정책이 전혀 통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계형 창업의 확산은 결국 과당경쟁과 동반몰락으로 이어져 사회 양극화 심화의 원인으로도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16일 재정경제부ㆍ산업자원부ㆍ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한국 창업시장에서 제조업 등 기회형 창업이 자취를 감추고 도매 및 소매업 등 생계형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신설법인에서 생계형으로 분류되는 도매 및 소매업종의 비중은 ▦2003년 22.9% ▦2004년 22.7% ▦2005년 25.1%로 늘었다. 특히 올 상반기에는 27.7%까지 치솟았다. 신설법인 10곳 중 3곳은 도소매 업종이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도소매업을 포함한 전체 서비스업 비중도 지난 2003년 59.3%에서 올 상반기 68.0%로 8.7%포인트 늘어났다. 현재 우리나라의 창업은 서비스업, 이 중에서도 생계형에 집중돼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제조업 비중은 해마다 감소, 2003년 23.6%에서 2005년 17.9%로 떨어진 데 이어 올 상반기에는 15.3%까지 추락했다. 생계형 위주의 창업 비중은 후진국일수록 뚜렷하다는 분석이다. 국제공동연구인 GEM 조사(2001년 기준)에 따르면 한국의 생계형 창업지수는 5.67로 멕시코(6.88), 브라질(5.68)과 함께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의 창업추세를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생계형 창업지수는 더욱 올라갈 것으로 추정된다. 조덕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창업시장 구조는 국민소득 1만6,000달러 국가에 전혀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낙후돼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