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Gb 플래시메모리 상용화

삼성전자. 세계최초로 0.12㎛급 기술적용삼성전자는 30일 0.12 미크론(1㎛은 1/1,000 ㎜)급 공정기술을 적용한 대용량의 1기가(Gb) NAND(데이터저장용)형 플래시메모리 반도체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 내년초부터 양산한다고 밝혔다. 이 플래시메모리는 1기가 칩 단품과 칩 2개를 합친 듀얼 칩 구조의 2기가 제품등 2종류다. 1기가 제품은 디지털카메라에 고해상도 사진 560장 분량을 저장할 수 있고 2기가 제품은 MP3플레이어에 CD수준의 고음질 음악 약 64곡 분량을, 동영상(MPEG4 기준) 뮤직 비디오 2시간 분량을 저장할 수 있다고 삼성은 밝혔다. 삼성은 이들 제품이 대용량 초고속 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개인휴대단말기(PDA)와 메모리카드등 디지털미디어및 정보통신 기기의 데이터 저장용 핵심반도체로 쓰이게 되며 IMT-2000등 차세대 휴대폰에 채용될 경우 한층 빠른 속도로 동영상 저장이 가능, 휴대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은 이들 제품 상용화로 ▲세계최초로 0.12㎛급 초미세화 기술을 적용, 경쟁업체에 대한 기술력 우위를 입증했으며 ▲기존 D램 대비 50% 이상 향상된 원가경쟁력을 확보, 앞으로 생산성 및 가격면에서 대용량 메모리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은 이번에 1기가 3.3V(8비트) 제품을, 올해 안으로 1.8V와 3.3V(32비트)를 출하하고 내년초부터 본격적인 양산체제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삼성은 NAND형 플래시메모리 제품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현재 40%에서 2004년에 46% 이상으로 높여 1위 자리를 확고히 굳힌다는 계획이다. 삼성은 1기가 플래시메모리 공급가를 50달러 이상으로 보고 있다. 한편 시장조사 전문기관 세미코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NAND형 플래시메모리 시장은 내년에 약 27억달러, 2004년 83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50%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조영주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