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11월 24일] 현대건설 인수자금 공개해야

현대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된 현대그룹의 인수자금을 놓고 말들이 많다. 논란의 핵심은 현대그룹이 인수자금으로 명시한 프랑스 나티시스 은행 예금 1조2,000억원이 가장 납입됐거나 실체가 불분명한 돈이라는 것이다. 당사자인 현대그룹은 펄쩍 뛰고 있다. 의혹이 일자 바로 언론에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한 세력으로 입찰에서 낭패를 본 현대자동차그룹을 공개적으로 지목했다. 이어 매각 주간사에 현대차의 예비협상대상자 자격을 박탈해달라고 요청했다. 한 발 더 나가 우선협상대상자로 현대그룹을 선정한 채권단에 이의를 제기하는 대상이 누구든지간에 법적 조치를 불사할 태세다. 물론 입찰과정에서 불법행위가 있었거나 근거 없는 음해로 기업 신인도에 흠집을 낸다면 그 당사자를 처벌해야 한다. 하지만 이보다 중요한 것은 3조원이라는 세금이 투입된 현대건설이 능력과 자금을 갖춘 제대로 된 기업을 만나 전보다 더 성장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현대건설 인수자가 '승자의 저주'를 피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건 매우 중요하다. 현대그룹이 인수자금의 출처와 성격을 명확하게 공개해야 하는 이유다. 지금 현대그룹이 인수자금의 성격을 밝히지 않아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현대그룹은 비밀유지동의서 조항을 들어 자금조달에 대해 함구 중이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마당에 현대그룹은 채권단과 협의해 자발적으로 자금의 실체를 떳떳이 밝히는 게 바람직하다. 동시에 현대그룹의 인수자금 의혹을 제기하는 쪽도 근거 없는 설만 퍼트리지 말고 '팩트', 즉 확실한 증거를 내놔야 한다. 그래야 "현대차그룹이 정치권 등에 전방위적으로 로비를 하고 있다" "허위사실을 언론에 유포하고 있다"등의 지저분한 루머를 없앨 수 있다. 현대건설의 주인은 사실 국민이다. 국민의 혈세로 되살아났지 않은가. 그런 기업의 새로운 주인을 찾는 일인 만큼 성가시고 불편해도 짚어야 할 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그것이 현대건설의 새로운 주인이 국민에게 할 도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