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1,000 붕괴] 펀드는 어떻게 해야되나

"전략 자체가 의미없어 일단은 버티는 수밖에…"
전문가들도 "언제 시장 안정될지 가늠도 불가능"
"지금 환매는 전형적 투자 실패…반전 기다려야"


“자본주의 메커니즘으로는 도저히 설명이 불가능한 국면입니다. 이런 장에서는 투자전략이라는 말도 의미가 없겠네요.” 1인 1펀드 시대에 맞이한 코스피지수 1,000선 붕괴는 온 국민의 가슴을 시퍼렇게 멍들게 했다. 펀드 투자전략을 세워온 일선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전문가들은 “이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시장에 무슨 전망을 내놓을 수 있겠냐”며 모두 말을 아끼고 있다. 환매를 하자니 많게는 원금의 70% 이상이 날아간 상황이고 그대로 두자니 투자자들의 심리적 공포는 더욱 커지는 현실이다. 취재에 응한 펀드 전문가들은 향후 전략을 묻는 질문에 한참 동안 말을 잇지 못하더니 “일단은 숨을 고르는 게 먼저”라고 입을 뗐다. ◇“무슨 말도 통하지 않는 시장”=펀드 전문가들은 “무슨 말을 해도 고객들에게 욕을 먹을 걸 생각하니 말하기가 두렵다”고 토로했다. 지난해 말 고점을 찍은 후 지난 1년간 코스피지수가 반토막나고 전세계 이머징 마켓의 증시가 70% 가까이 빠진 사이 전문가들이 내놓은 전망들은 하나같이 빗나가고 말았다. 국내 주식형펀드는 물론이고 중국과 인도ㆍ러시아ㆍ브릭스ㆍ원자재 펀드에 이르기까지 모든 펀드의 손실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진 상황이다. 하반기 들어 해외보다 국내 펀드의 수익률 방어력이 그나마 나을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최근 두달간 코스피지수가 쉼 없이 폭락하면서 국내 주식형펀드의 최근 1개월 평균 수익률은 -11.04%, 1년 평균 수익률은 -39.72%로 추락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증권사의 펀드 애널리스트는 “올 들어 추천해온 펀드마다 계속 수익률 하락에 시달리다 보니 이제는 전략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조차 겁이 난다”며 “언제 시장이 안정될지 가늠조차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투자자들도 공포에 질려 있기는 마찬가지였다. 네이버 재테크카페의 한 네티즌은 “2년 뒤 사용하려고 넣어뒀던 적립식 펀드를 20년 뒤 노후연금으로 써야 할지 고민된다”며 “10년이 지나도 원금회복이 돼 있을지 모르겠다”고 허탈해 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수익률 -60%로 3,000만원을 날렸지만 앞날에 대한 어둠이 너무 강해 갖고 있던 펀드를 모두 환매했다”며 “애들 얼굴을 보면 미안한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버티는 수밖에 없다”=전문가들은 지금 시점에서 투자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말하면서도 일단은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보라는 조심스러운 조언을 했다. 김휘곤 삼성증권 연구원은 “너무 고통스럽겠지만 시장이 여기서 끝나고 영원히 문을 닫는 게 아닌 만큼 버텨야 한다”며 “과거에 1,000포인트에서 200포인트대까지 밀렸다가 다시 반등했던 역사도 있는 만큼 희망을 끈을 놓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3년ㆍ5년 등 장기적 시각으로 보면 지금의 고통은 순간일 수가 있다”며 “조금만 숨을 고르고 설사 펀드를 환매하겠다고 마음을 먹었어도 한번만 더 생각하길 충고한다”고 조언했다. 이계웅 굿모닝신한증권 펀드리서치팀장은 “주식형펀드가 보통 1년에 추구하는 수익률이 10~15% 수준인데 지금은 시장 전체가 불과 3일 만에 이만큼 빠진 상황”이라며 “대안이라고 내세울 것도, 손실을 메우기 위한 전략을 마련한다는 것도 지금으로서는 난망하다”고 토로했다. 이 팀장은 그러나 “지금 환매에 나서는 건 투자의 전형적인 실패 사례를 답습하는 것”이라면서 “시장이 이렇게까지 망가진 만큼 분명 조만간 추세적인 반전의 기회가 찾아올 것”이라며 그때까지는 기다릴 것을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