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리듯 말듯 ‘북핵 6자회담’

북한과 중국이 내년 초 6자 회담 재개에 합의함에 따라 북 핵 대화가 다시 재개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중국의 왕이(王毅) 외교부 부부장의 방북 결과에 힘입은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 중국, 일본 3국은 29일 서울에서 연쇄 접촉을 갖고 2차 6자 회담의 내달 개최 방안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마지막까지 연내 회담 개최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았던 한국 정부는 그 동안 회담을 빨리 하자는 촉구와 함께 6자 회담의 연속성을 강조해왔다. 우리 정부의 바람 대로 중국의 적극적인 중재에 힘입어 4개월째 중단돼온 북 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에 `청신호`가 들어온 셈이다. 그러나 실상 북한과 미국, 다른 참가국들의 `동상이몽`은 아직 제자리이다. 6자 회담 연내 개최가 무산됐던 가장 큰 이유인 공동선언문을 놓고 미국과 북한의 시각차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북한과 미국은 여전히 장외공방을 통해 서로 받아들이기 까다로운 요구 조건들을 내걸고 있다. “우리도 비핵화가 목표 이나 핵 동결의 대가가 논의돼야 한다”는 북한과 “핵 동결이 아닌 핵 해체가 우리의 목표”라는 미국의 `원칙론`은 아직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하듯 한국 정부도 회담 개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현재로선 북한의 입장이 내용상 특별히 진전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특히 북한은 회담 개최일자를 내년 초라고 했을 뿐 1월로 못박지 않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1월에는 일본의 신정연휴(1∼4일), 중국의 춘절(春節:17∼25일), 러시아의 정교회 크리스마스(7일)가 들어 있어 일정 조정이 쉽지 않다. 6자 회담이 성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북한과 미국을 비롯한 참가국들의 공동의 이익과 신뢰를 위한 `열린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회담 재개보다 더 중요한 것은 회담의 성과이기 때문이다. <김민열 정치부 기자 mykim@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