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ㆍ기아차 과장급 이상 임직원들이 어제 위기극복을 위한 결의대회를 갖고 임금동결을 선언했다.
임금동결에 대해 여러 해석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미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갔고 400여개 1차 협력업체에 대한 납품가 인하추진에 이어 임금동결까지 나온 것은 경영환경이 그만큼 심상치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현대ㆍ기아차의 판매는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있고 수익측면에서도 급격히 악화된 상태는 아니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긴축경영이 엄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원ㆍ달러 환율하락, 국제유가 및 원자재값의 고공행진 등 경영여건이 종전과 사뭇 달라져 결코 마음을 놓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실제로 판매대수는 늘었지만 매출은 줄어들고 영업이익률도 2003년을 정점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이런 악재들이 단기간 내 끝나지 않고 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위기는 어어 하는 사이에 온다는 점에서 미리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현대차의 비상경영은 시의 적절한 조치라 할 수 있다.
이번 임금동결 결의로 노조의 움직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과장급 이상 임직원들이 임금을 묶었다고 해서 노조도 꼭 그렇게 하라는 법은 없다. 다만 노조도 경영환경 악화의 경영여건을 충분히 감안하는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미국 GM과 일본 도요타의 사례는 근로자와 노조의 협력이 기업의 경쟁력, 더 나아가 생존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GM은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인건비와 복지부담으로 파산위기에 까지 몰린 데 반해 도요타는 수년째 임금동결로 경쟁력을 높여 세계 1위 등극이 확실시되고 있지 않은가.
현대차 근로자들의 임금은 국내 최상위 수준이다. 또 생산성대비 임금을 보면 선진 자동차 메이커들에도 뒤지지 않는다. 노조가 과다한 임금인상을 요구하면 그 부담은 결국 협력업체로 전가된다. 이는 그렇지 않아도 힘겨운 상태의 중소기업 근로자들과 비정규직 노조들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현대ㆍ기아차 노조의 대승적 결단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