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완화없이 금융허브 없다"

57개 금융사 CEO '금융권 글로벌 경쟁력' 설문
"점수 보통이하" 82%… "조변석개 정책탓" 36%
중점추진 정책과제로 "규제완화" 가장 많이 꼽아


"규제완화없이 금융허브 없다" ■ 57개 금융사 CEO '금융권 글로벌 경쟁력' 설문동북아 금융허브정책 "점수 보통이하" 82%이유론 감독·행정 미숙, 조변석개 정채 꼽아 우승호 기자 derrida@sed.co.kr 관련기사 • 우리 금융산업의 국제경쟁력은… • 국내시장 포화…해외서 국부창출을 국내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들은 정부의 동북아시아 금융허브정책에 대해 ‘보통 이하’의 낮은 점수를 줬다. 금융권 CEO들은 금융경쟁력을 높이려면 보다 과감한 규제완화가 절실하며 조변석개식 정부 정책의 변화를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아울러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면 금융시스템 선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동시에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부작용도 우려했다. 2010년 이후에는 외국계 금융회사의 시장 장악력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의견은 27일 서울경제신문이 창간 46주년을 맞아 은행ㆍ보험ㆍ카드ㆍ증권ㆍ저축은행 등 57개 금융회사 CEO를 대상으로 ‘국내 금융권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나왔다. 27일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부의 동북아시아 허브정책’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3%가 ‘보통’이라고 평가했고 23%는 ‘잘못하고 있다’, 6%는 ‘아주 잘못하고 있다’고 대답, 전체의 82%가 ‘보통 이하’라고 평가했다. 은행 CEO 전부가 ‘보통 이상’이라고 응답한 반면, 보험사와 카드ㆍ저축은행 등은 ‘보통 이하’라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해 업종별로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허브정책이 잘 안 되는 이유로는 ‘감독ㆍ행정의 미성숙과 조변석개식 정책’이 36%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증권사 CEO의 40%는 ‘외국자본에 대한 정서’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또 금융허브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의 추진 과제로는 ‘규제완화’가 40%를 차지했다. ‘반 기업정서 해소’와 ‘상생적 노사관계 정립’도 각각 22%, 12%를 기록했다. 구본성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은행을 선진국처럼 투자은행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판매 뿐 아니라 개발에 관한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금융회사의 경쟁력을 묻는 질문에 대해 대체로 냉정한 시각을 드러냈다. 국내 은행 가운데 빅3 은행이 글로벌 뱅크로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대답하는 응답자가 대다수였지만, ‘전혀 없다’는 응답(13%)도 많았다. 글로벌 뱅크가 되기 위한 요건으로는 선진경영시스템(38%)ㆍ인력(30%)ㆍ자산규모(15%) 등의 순으로 꼽았다. 입력시간 : 2006/08/27 17:1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