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투자분산 금융정책 필요"

■ 우리 경제 '유동성 딜레마' 빠졌다
몸집 커진 자산시장, 경제전체 영향력 높아져


유동성 증가로 자산시장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경제의 스톡(stock)화’ 현상이 진전됨에 따라 특정 자산에 거품이 낄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부동산 자산 비중을 낮추지 않으면 일본 부동산 버블처럼 큰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때문에 해외로 자산을 내보내는 것을 포함해 국내외에 자산을 다양하게 분산, 운용하는 금융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LG경제연구원은 3일 증시가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주식 외 각종 금융자산 규모도 계속 팽창함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금융자산 비율이 지난 2000년 6.2배에서 지난해에는 8.2배까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자산규모가 팽창하면서 자산 선택이 경제에 미칠 영향력이 높아지는 ‘경제의 스톡화’ 현상은 몇 년째 지속되는 세계 증시 호황, 부동산가격 상승, 국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를 앞둔 자산증식 활동이 활발해지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구원은 “현재 자산 규모가 GDP의 증가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팽창하고 있어 보유자산 결정의 파급효과가 앞으로 커질 것”이라며 금융자산배율이 지난해 현재 국내와 비슷했던 97년 미국과 87년 일본에서도 이후 꾸준히 금융자산배율이 높아져 스톡화가 진전됐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같은 스톡경제화가 진행되는 시기에 과거의 자산축적 관행이 지속되면 큰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원은 “일본의 경우 80년대 말 부동산 시장으로만 자금이 몰려 버블이 형성됐다”며 “일본처럼 자산규모가 커지는 와중에 부동산 선호경향이 유지될 경우 큰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경우 거품 붕괴 후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자산이 분산되기 시작해 스톡경제화의 문제가 다소 완화된 상태다.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일본 버블형성 초기처럼 부동산 선호도가 높은 만큼 과거의 자산축적 관행을 바꿔 실물자산과 금융자산ㆍ해외자산 등으로 균형 있게 자산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근본적으로 공급이 제약된 토지 등으로 자산이 몰리는 ‘부동산 불패신화’의 경우 경제가 스톡화하면서 큰 위기를 몰고올 수 있다고 연구원은 강조했다. 연구원은 “스톡경제화가 진전될수록 금융정책이 중요해진다”고 강조하고 “GDP나 금리의 영향력은 낮아지는 반면 통화량 증가가 자산시장을 거쳐 물가에 영향을 주게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금융정책도 자산시장을 고려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외자산이 대부분 외환보유고 형태로 축적됨에 따라 자산수익은 저조한 반면 단기외채는 늘어나 해외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실정이라며 부동산 거품을 억제하기 위한 해외투자 유도 등 자산구조를 분산시키기 위한 금융정책이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연구원은 2000년대 초 일본이 해외투자 활성화를 위해 외환시장에 대거 개입한 것처럼 해외자산 수익을 높이고 스톡경제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원화가치를 안정시켜 국제수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