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대출 변동형 금리, 고정형 육박

고정금리대출로 갈아타기 고려해볼만


은행권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장기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금리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고정금리형 대출로 갈아타는 게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은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를 기준으로 해 CD 금리의 변동에 따라 대출금리가 변한다. 하나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대출 금리는 이날 현재 연 4.9~6.4%로 지난 주말보다 0.14%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 3월 말 이후 최고 수준이다. 신한은행과 외환은행의 변동금리부 주택대출금리는 각각 연 4.35~5.75%, 연 4.39~6.14%로 4월 초 이후 가장 높다. 우리은행은 연 4.15~5.47%로 지난 5월 이후 최고치다. 국민은행은 연 4.41~5.71%로 지난 주와 변동이 없지만 다음주에는 CD 금리 인상폭이 반영된 대출금리가 적용될 예정이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장기 고정금리형 주택대출금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주택금융공사가 판매하는 장기 주택담보대출 상품인 ‘u-보금자리론’의 경우 10년 만기의 경우 연 5.2%의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설정비 등을 고객이 부담하면 0.2%포인트의 대출 금리를 깎아주기 때문에 최저 연 5.0%에 대출이 가능하다. 30년 만기의 경우 연 5.45%의 고정금리가 제공되며 0.2%포인트를 우대받을 수 있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과 고정금리형 주택대출 금리차가 크게 줄어들면서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게 유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시중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른 것은 지난 16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자 CD 금리가 0.14%포인트 올랐기 때문이다. 앞으로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유력하기 때문에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계속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용숙 기업은행 영업부 PB팀장은 “한은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상될 경우 변동금리형 대출의 금리가 고정금리형 대출 금리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금리상승을 감안한다면 고정금리형으로 대출을 받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