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암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 14兆

GDP의 1.75% 규모… 간암이 위암보다 많아

암 환자가 토모테라피로 치료를 받고 있다.

국내에서 암 때문에 직ㆍ간접적으로 부담되는 경제적 비용이 14조원을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암종별로는 간암이 위암을 제치고 경제적 비용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의 김성경ㆍ김진희 박사팀이 내놓은 '암의 경제적 비용부담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5년 국내에서 암으로 인한 직ㆍ간접 경제적 비용은 14조1,000억원으로 2002년의 11조4,000억원에 비해 23.7% 증가했다. 14조원은 2005년 국내총생산(GDP)의 1.75%에 달하는 규모다. 2002년 2조1,000억원이었던 간암의 경제적 부담 비용은 2조5,000억원으로 늘어 위암(2조4,000억원)을 앞서 가장 큰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는 암으로 올라섰다. 이어 폐암(1조7,000억원), 대장암(1조4,000억원), 유방암(9,000억원) 순으로 분석됐다. 14조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조기사망으로 인한 사망손실액(7조4,000억원)으로 52.6%에 달했다. 이어 입원과 치료에 따른 노동력 손실액(이환손실액)이 3조2,000억원(22.8%), 암 치료시 소요되는 직접의료비는 2조2,000억원(15.7%)으로 나타났다. 교통비ㆍ간병비 등의 직접비의료비는 1조1,000억원, 암환자 간병과 관련 보호자의 시간비용은 1,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암환자의 1인당 평균 경제적 비용부담은 2,970만원이었으며 백혈병이 6,7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암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국내 암환자는 모두 47만3,135명으로 2002년 암환자 31만1,759명에 비해 51.8%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51.6%) 암환자가 남성(48.4%)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6.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0대가 22.7%, 70대가 22.4% 등으로 나타나 50~70대에서 암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