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카드합병결정 후유증

증자와 합병을 놓고 오락가락 하던 우리카드 처리방안이 결국 합병으로 최종 결론이 나자 우리금융지주사가 경영진 책임론 등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카드의 부실과 이로 인한 정상화 방안을 놓고 혼선을 빚은 일련의 과정을 놓고 벌써부터 우리금융 경영진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는데다 우리카드 노조의 합병 반대, 우리은행 노조의 경영이행약정(MOU) 수정 요구 등 반발과 비판의 목소리가 이곳 저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우리금융 경영진은 이번 합병결정이 내려지기 직전까지도 합병 보다는 증자를 기정사실화 하는 발언을 잇따라 쏟아냈다. 우리금융의 고위관계자는 최근 “우리은행은 지주사의 맏형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에 은행으로 바로 흡수된 국민은행과 외환카드와는 상황이 전혀 다르며, 지주사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회사가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우리금융은 심지어 지난 9월 우리카드에 대해 6,400억원의 증자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리은행의 일부 임원들이 그룹의 경영전략과 배치되는 합병을 고집했다는 이유로 공공연히 문책을 거론하기도 했다. 우리금융은 표면적으로는 당시 우리은행 임원에 대한 문책이`회계처리상의 잘못` 때문이라고 밝혔지만 합병을 주장한 데 따른 `괘씸죄`가 반영됐다는 게 은행 안팎의 지배적인 분석이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증자에서 합병으로 갑자기 선회한 배경이 석연치 않다”며 “만일 금융당국의 압력에 굴복했다면 경영진이 정부 입김에 휘둘렸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고 스스로의 결정이었다면 불과 두 달도 안돼 자신들을 `문책대상`으로 인정한 셈이 된다”고 꼬집었다. 우리금융의 한 고위관계자는 “합병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입김은 없었으며 당시 증자 때와는 시장상황이 또 다르기 때문에 증자와 합병 두 가지 방안을 놓고 이사진을 비롯한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한 후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