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장 커지는 '용산 참사'] 후속 개각 영향주나

국세청장 인선 '출신지역 부담' 덜듯

신임 경찰청장에 내정된 김석기 서울지방경찰청장이 사퇴 위기에 몰리면서 인선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국세청장 인사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4대 권력기관 인사에서 가장 큰 고려 요인 중 하나가 출신 지역인데 TK(경북 영일) 출신의 김 청장이 물러날 경우 지역 배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최근 단행된 권력기관장 인선 내용을 보면 경찰청장과 후임 국정원장인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경북 영주), 임채진 검찰총장(경남 남해) 등 3명이 전부 경상도였다. 이에 따라 관가와 정치권에서는 후임 국세청장 인선에서는 경상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 출신을 뽑을 것이라는 예상이 강했고 자연스럽게 허용석 관세청장(전북) 등이 유력하게 거론돼왔다. 하지만 김 청장의 후임으로 경상도가 아닌 다른 지역 출신이 임명될 경우 국세청장 인선에서 지역적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실제로 경찰청장인 치안총감 승진이 가능한 치안정감은 임재식경찰청 차장(전북 전주), 김도식 경기경찰청장(경기 이천), 한진희 경찰대학장(충북 영동) 등으로 한정돼 있다. 현재 후임 국세청장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 중 TK나 PK 출신에는 조용근 한국세무사회 회장(경남 진주), 오대식 전 서울지방국세청장(경남 산청), 김경원국민연금관리공단 감사(경북 영천)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