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생산 증가 불구 '뒤틀린' 경기회복세 여전

반도체·휴대폰·디지털TV 편중 갈수록 심화
소매 판매 줄고 건설 수주·설비투자도 부진


산업생산 증가율이 9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였지만 반도체 등을 제외하면 정체 상태를 보여 경기회복이 여전히 비틀린 상태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반도체와 휴대폰ㆍ디지털TV 등 3대 품목으로의 편중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수출과 내수의 고리가 단절됐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환율 등 외생 변수에 더욱 취약해지고 있음을 반증한다. 통계청이 29일 내놓은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 10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보다 8.0% 늘어나 1월(14.3%) 이후 9개월 만에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파업이 끝나면서 자동차 생산이 전달 -11.1%에서 6.1% 증가로 돌아선 요인이 컸다. 하지만 업종간 양극화 현상은 더욱 깊어졌다. 반도체 생산은 9월 31.9%에 이어 10월 36.7% 늘었고 영상음향통신은 PDP와 LCD를 포함한 디지털TV와 휴대폰 수출이 크게 늘어 12% 증가했는데 이들을 빼면 증가율은 0.3%에 머물렀다. 이 같은 증가율은 2ㆍ4분기 2.0%(전체 4.0% 증가)에서 3ㆍ4분기 1.3%(6.9%)에 뒤이은 것으로 편중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의 불안함도 여전했다. 전체 소비는 승용차판매가 늘어난 데 힘입어 3.4% 증가했지만 지난해 10월 소비가 1.3% 감소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이 정도로는 미약하다. 자영업자들이 주로 종사하는 기타 소매점 부문의 판매가 2.3% 줄어들어 불안감을 더했다. 기생충 파동에 따른 구충약 덕분인지 의약품ㆍ화장품 품목의 증가율이 지난 몇 달 평균보다 3~4%포인트 높아져 11.0%에 이른 점이 눈에 띄었다. 건설경기도 동면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 건설수주는 9월 28.5% 증가에서 10월에는 34.8%라는 큰 폭의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10월 수주가 33.1% 증가했던 것에 따른 역기저효과 때문이라고 하지만 감소폭이 너무 크다. 설비투자도 1.7% 증가했지만 내수상황을 보여주는 운수장비 투자는 여전히 부진하고 기계수주도 0.9%의 증가율로 미미했다. 지표들이 불안한 탓에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순환변동치’는 95.9로 전월과 같은 수준이었고 향후 경기전환시기를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3.7%로 전월에 비해 0.7%포인트 증가했지만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었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와 투자 모두 지난해 부진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 요인을 제외하면 부진한 상황”이라며 “수출호조가 내수회복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기의 ‘공(空)회전’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