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자동차업체들의 임단협에서는 상급 단체인 금속노조의 일방적인 행동도 도마에 올랐다.
가장 두드러진 것이 GM대우 노조의 임협 합의안에 대한 금속노조의 승인 거부다. GM대우의 임협은 노사가 임금 동결을 골자로 한 임협안에 합의한 후 조합원 찬반투표(찬성 66.3%)를 거쳐 가결된 것이지만 금속노조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기본급 4.9% 인상’이라는 금속노조 방침에 위배된다는 것이 이유였다.
금속노조는 경기침체로 업계 가동률이 60~70%에 불과한 상황에서도 올해 임단협 지침으로 기본급 4.9% 인상을 하달했다. 더욱이 은행권 자금 지원을 받아야 하는 등 경영정상화가 시급한 GM대우 같은 사업장에도 ‘지침 준수’를 요구하는 시대착오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임단협 뿐 아니라 77일간 파업이 계속됐던 쌍용차 사태에서도 금속노조는 ‘총고용 보장’과 ‘공적자금 투입’과 같은 현실성 없는 요구만을 강요, 쌍용차 노조원들에게 조차 “금속노조가 사태를 망쳤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특히 금속노조는 쌍용차 사태를 올해 총파업의 빌미로 활용하려 했지만 각 기업들의 냉소적인 반응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심지어 파업이 가능했던 기아차 노조 조차 지난달 29일 금속노조의 총파업 지침에 동조하지 않았다. 실질적인 이익 없는 파업에 동참해 금속노조의 대리전을 치를 이유와 명분이 없었기 때문.
금속노조의 일방 통행은 이처럼 각 지부와의 반발과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금속노조 내에서 가장 큰 현대차 지부가 “현대차 노조를 비롯한 5개 기업지부를 지역 지부로 전환하겠다”는 금속노조 방침에 반기를 들고 현행 기업지부 체제로 집행부 선거를 치르기로 한 것이 단적인 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