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제대로 마시면 무병장수 한다

소주기준 반병 정도면 중년남성 건강에 도움
포도주·맥주·증류주등 심장혈관 질환 예방도

술의 역사는 인류역사 못지않게 길다. 최후의 빙하기가 끝나고 신석기 시대로 들어오면서 인류는 포도주를 즐기게 됐다. 술이야말로 1만년 이상 인류의 동반자였던 셈이다. 간 질환을 비롯해 술의 해악도 이만 저만이 아니다. 그러나 적당한 음주는 장수를 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는 것은 지금까지 발표된 임상논문과 역사적 사실을 통해 확인된 것이다. 지난 1975년 140세로 세상을 떠난 20세기 최장수 여인인 그루지야 장드브나씨 역시 생전에 “40세부터 100년간 손수 만든 포도주를 매일 5잔씩 마셨는데 이것이 장수의 비결”이라고 자랑했다. 취재차 카프카스 산맥의 서남쪽에 있는 농촌을 방문한 기자들에게 “당신도 매일 포도주 한 병을 마시면 나보다 더 장수할 수 있다”고 권했다니 그의 술 애찬론은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짐작할만하다. 그럼 술은 얼마나 마시는 것이 건강에 도움을 주는 적당한 양일까. 독일 본대학의대 이종수(이식외과) 박사는 자신의 저서 ‘술은 약이다’를 통해 음주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박사는 1975년 독일 본대학의대 종신직 교수와 이식외과 과장으로 선임된 이래 간질환 연구와 치료를 해왔으며 국제학술지에 320편의 논문을 발표한 간 전문의이다. 이 박사에 따르면 세계 여러 대학에서 발표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장수에 도움이 되는 술의 ‘상한선’에는 차이가 있다. 국가에 따라 잔 크기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표된 논문을 종합해 분석한 결과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에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주 상한선은 75~80g이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매일 소주 한 병 이상에 해당하는 술을 마셔도 전체 사망률은 감소했다. 그러나 대부분 30~50g 정도의 알코올을 마셨을 때 전체 사망률이 금주자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주 반 병에서 2/3병에 해당된다. 따라서 30~50g의 음주량이 중년 남성을 장수하게 하는 음주량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범위 내 음주를 했을 때 전체 사망률 감소율도 가장 컸다. 주량은 미국식으로 하면 2~3잔, 영국식은 3~4잔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소주로 계산하면 반 병에서 2/3병 정도이다.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금주자와 비교할 때 전체 사망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 주량의 한계역시 국가별 편차가 심하다. 그런데 관심을 끄는 것은 주량이 생각 이상으로 많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에서는 110~130g이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소주 한 병 반에서 두병 정도인데 이렇게 많은 양을 매일 마셔도 전체에 사망률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70g 정도(소주 한 병)이다. 전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음주량보다 심근경색증을 예방하는 음주량의 상한선은 일반상식을 초월할 정도로 높다. 프랑스에서는 128g 이상(소주 두병 이상), 이탈리아 독일 호주 일본 영국의 경우 70~80g 이상(소주 한 병 이상)이다. 그런 점에서 심장병 예방효과가 있는 주량의 상한선은 60~80g(소주 한 병) 정도로 보면 무난하다는 것이 이 박사의 설명이다. 이 박사는 “음주가 전체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장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것은 적포도주 뿐만 아니라 백포도주ㆍ맥주ㆍ증류주도 같다”면서 “술의 종류가 심장병을 예방하거나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술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알코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적포도주에는 다른 술에는 없는 ‘폴리페놀’ 성분이 있는데 폴리페놀은 항산화작용을 하는 물질로 동맥경화 예방에 큰 도움을 준다. 이 박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이저 퍼머넌트의료원 연구팀이 1996년까지 음주와 사망률에 대해 발표된 논문 25편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술에 포함된 알코올이 장수를 돕는 보약의 역할과 심장병 예방역할을 한다는 의견일치를 보았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적당한 음주는 뇌졸중 당뇨병 치매 심근경색증 등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과음은 암 등 무서운 질병을 유발하는 또 다른 요인”이라면서 “특히 B형이나 C형 간염환자, 임신부는 절대 금주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