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장이후 한국號 앞날은…] 사회갈등 증폭 우려

'광폭의 정치'로 감싸 국론분열은 막아야
사사건건 갈등·불협화음… 정부가 먼저 관용 보여야

SetSectionName(); [국민장이후 한국號 앞날은…] 사회갈등 증폭 우려 '통 큰 정치'로 감싸 국론분열은 막아야사사건건 갈등·불협화음… 정부가 먼저 관용 보여야 한기석 기자 hanks@sed.co.kr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불거지고 있는 사회적 갈등이 장례 이후 증폭될 것으로 우려된다. 영결식을 하루 앞둔 28일에도 서로에게 마음의 상처를 줄 수 있는 장면들이 나왔다. 여론은 “지금은 자제할 때”라며 눈치를 주고 있지만 오불관언의 자세로 자기 주장만을 늘어놓아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문제는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 이후다. 지금은 우선 대사를 치러야 한다는 생각으로 갈등이 수면 아래에 머물러 있지만 자칫 국론 분열로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으로 번질 수 있는 상황이다. 많은 사람들은 “노 전 대통령이 바라는 게 이런 모습은 아닐 것”이라며 “노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아 누구도 원망하지 않고 화합하는 국민통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앞서 노 전 대통령 서거 직후 봉하마을에서는 일부 노사모 회원들이 특정 정치인의 조문을 거부하고 조화를 부수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대해 노혜경 전 노사모 대표는 “조문 거부는 노사모의 뜻이 아니다.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해명했지만 국민들의 뜻이 그게 아니었다는 점에서 아쉬운 대목이었다. 이후 장례기간 중에는 정부 측과 노 전 대통령 측 간 장례절차를 놓고 불협화음을 빚기도 했다. 초기에는 이해찬 전 국무총리가 공동장의위원장을 맡는 것 역시 논란 끝에 없던 일이 됐으며 영결식 당일 장례절차에서 필수적인 노제 장소를 놓고도 막판까지 갈등을 빚었다. 이날도 노제 때 걸릴 만장을 놓고 정부 측이 한 장소에 고정시킬 수는 있지만 이동할 수는 없다며 의견을 내 유족 측의 마음을 서운하게 만들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추도사 무산으로 노 전 대통령 측이 요청했지만 정부 측의 반대로 결국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지켜보면서 많은 국민들은 영결식 이후를 걱정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은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는 유서로 모두가 화합할 것을 주문했지만 자칫 그의 서거가 새로운 갈등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민 다수의 뜻은 노 전 대통령을 잘 보내드리고 그의 유지를 받드는 일일 것”이라며 “노 전 대통령의 메시지는 화해와 통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한 방안으로 우선적으로 정부가 모두를 포용하는 통 큰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정부의 우려를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서울광장 개방 여부만 봐도 정부가 편협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정부는 이런 게 오히려 정부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살아 있는 권력이 먼저 관용을 보이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 지지세력에 대해서도 “현재의 침통과 비탄을 모르지는 않지만 결국에는 화합으로 가야 되지 않겠냐”며 “역시 관용만이 해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종태 서울대 명예교수는 “국민분열 가능성이 가장 우려된다”며 “노 전 대통령의 서거는 그 자체로 큰 희생이지만 희생으로서만 끝나서는 안 되며 이를 통해 남은 우리가 얻을 것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이 우리에게 제시한 가치는 정치보복 단절과 국민화합일 것”이라며 “개인이든 조직이든, 국가든 사회든 갈등을 일으키면 엄청난 손해를 보고 불행을 초래한다는 명심해야 된다”고 말했다. 노동 분야 전문가이기도 한 최 교수는 “이번 일을 계기로 노사관계도 갈등의 동반자에서 사업의 동반자로 나가야 되며 이를 통해 경쟁적 노사관계가 공동체적 노사관계로 발전해야 된다”고 제언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