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14일 포스코의 주총을 앞두고 정부가 유상부 회장의 연임반대 입장을 밝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전윤철 재경부장관의 발언은 물론 포스코의 대주주인 중소기업은행, 국민연금, 투자신탁회사 등 정부 영향력 아래에 있는 기관 및 기업의 관계자들의 입을 통해 표명되고 있다.
포스코는 이 달로 민영화 한지 2년5개월째다. 올해의 주총은 민영화 이후 정권이 바뀌고 나서 처음 치르는 것이다. 공기업 시절 포항제철은 정권의 향배에 따라 경영권이 크게 흔들렸다. 정부의 포스코 경영진 교체 움직임이 정권교체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시기상으로 정권교체기에 맞물려 있고, 인수위 측도 유회장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 공교롭기는 하다.
정부는 유회장의 연임을 반대하는 주된 이유로 유회장이 타이거풀스 사건과 관련해 재판을 받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또 회장제가 옥상옥이고, 그가 재벌 회장처럼 `황제적 경영`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유회장이 타이거풀스 사건에 연류된 것은 유회장 측이 미래형 투자행위라고 주장하지만 불미스런 사건임에 틀림없다. 그가 유죄판결이라도 받는다면 경영활동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연임반대 주장에 일리가 없지 않다. 그러나 법원의 결정이 내려지기도 전에 이를 예단해서 가부를 주장하는 것은 성급한 면이 있다. 회장제 문제도 책임을 지지않고 권한만 행사하는 회장이 아니라 책임을 지는 회장이라면 문제될게 없다고 본다.
더욱이 정부는 포스코의 민영화를 공기업 민영화의 모범사례로 선전해 왔다. 민영화 2년 사이에 경영실적이 크게 향상됐고 외국인 보유 지분이 61%에 이르는 등 지배구조도 개선됐다. 그런데 지금 와서 유회장으로 인해 포스코의 민영화가 잘못된 것 처럼 평가하는 것은 어딘가 부자연스럽다. 정부는 기업경영을 국제기준에 맞추라고 요구해 왔고, 포스코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한국의 대표적 기업이다. 그래서 외국인 주주들로부터 인정받는 경영자를 정부가 나서 부정하는 것은 자기 모순이다.
포스코 경영진 선임문제는 61%의 외국인 지분이 얼마만큼 정부에 동조할 것인지에 달려있다. 한국의 기간산업인 포스코의 경영진은 모든 주주들의 합의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가 반대하는 상황이라면 누가 경영을 맡아도 상당한 부담이 된다는 점에서 연임논란이 일고 있는 것 자체가 아쉬운 일이다.
공기업시절 포스코는 정치권의 외압을 대통령이 막아줘야 할 만큼 외풍이 심한 기업이었다. 민영화 이후에는 그런 모습이 사라지기를 국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의 경영자는 하루아침에 길러지지 않는다. 유회장이 연임되든 안되든 검증이 안된 인물이 낙하산 식으로 임명되는 일이 포스코에서 빚어져서는 안 된다.
<조영훈기자 dubbcho@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