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KT' 이석채號 닻 올렸다

주총서 KTF와 합병 승인… 李회장 "고객만족 최선"


KT가 KTF와의 합병을 사실상 확정하고 이석채(사진) 회장 체제의 닻을 올렸다. KT는 27일 서울 우면동 KT연구개발센터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KTF와의 합병계약과 정관변경 등 안건을 원안대로 승인했다. 이 회장은 이 자리에서 "(주주들이) 합병을 찬성해준 데 대해 매우 고맙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KT와 KTF의 합병을 기반으로 주주 가치와 고객만족을 높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합병 KT는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 분야에서 지금보다 더 큰 이익을 내야 한다"며 "전쟁을 치른다는 각오로 직원들이 진정한 주인의식을 갖고 기업 간의 전쟁에 맞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또 "양사의 합병으로 네트워크망을 통합해 관리하고 지원부서가 통폐합되면서 매출액의 1.5% 정도(3,000억원)의 경비를 매년 절약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KT의 조직문화가 한층 능동적, 적극적, 고객 위주로 바뀔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회장 체제가 공식 출범함에 따라 KT는 조만간 회사 구조를 사내회사인 CIC(Company In Company) 체제로 전환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할 방침이다. KT는 이를 통해 이 회장을 정점으로 사업조직별 책임경영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KT는 이와 함께 매수청구 최대 가능규모가 회사가 설정한 한도액보다 낮게 집계돼 합병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다. 지난 26일 증권예탁결제원의 최종 집계에 의하면 반대의사를 통지한 주식 수는 KT가 1,940만주(총 주식 수 대비 7.1%), KTF가 1,479만주(7.9%)로 나타났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KT는 약 7,477억원, KTF는 약 4,330억원으로 당초 예상금액(1조7,000억원)보다 상당히 작은 규모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