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대출 연체 증가율 5월이후 한풀 꺾여

"일시적 자금난 해소일뿐… 한계기업 구조조정 서둘러야"


주요 은행들의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 추이가 최근 진정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는 중소기업들이 일시적으로 자금경색을 넘긴 데 따른 것일 뿐 실질적인 경영개선이 이뤄진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하반기 중 구조조정을 본격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9일 주요 시중은행의 여신담당 임원 및 간부들에 따르면 국민ㆍ신한ㆍ우리ㆍ하나은행 등 4대 주요 은행들의 지난 5~6월 중소기업 연체율 증가폭이 다소 둔화됐다. 한 대형은행 여신담당 부행장은 "아직 추계치여서 수치를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는 없지만 지난달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5월보다 다소 호전됐다"며 "이런 분위기는 다른 시중은행들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다른 대형은행 여신담당 부행장도 "올 4월까지만 해도 월별 연체액 규모가 1,000억원 이상이었지만 5월 이후부터는 수백억원대로 낮아졌다"며 "중소기업들의 자금난이 상당히 풀린 것 같다"고 분석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들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4월 말 2.59%, 5월 말 2.57%로 소폭 호전됐다. 은행권의 6월 말 현재 연체율 통계는 아직 집계되고 있지만 최소한 전월보다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금감원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한 시중은행의 중소기업전략 담당 간부는 "5ㆍ6월의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세가 상당히 완만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은 정부가 은행들에 중소기업자금 지원을 독려한 데 따른 것일 뿐 실질적으로 실물경기가 호전됐다고 보기에는 이르기 때문에 하반기에도 중소기업 연체율 지표가 좋아질지는 자신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도 정부가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독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금융지원에 무임승차하고 있는 일부 한계 중소기업을 골라내는 구조조정을 더욱 본격화해야 한다는 게 금융권의 지적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도 "중소기업들의 흑자 연쇄도산을 막기 위해 상반기에 광범위한 자금 지원을 하다 보니 퇴출해야 할 한계 기업들까지도 은행들의 대출을 받아 연명해왔다"며 "이들 한계 기업의 옥석구분을 하반기에 본격화하지 않으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개선될 수 없다"며 구조조정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