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헬스’ 산업 탄력 받는다

원격진료…화상처방…전자의료 컨설팅…
서울대병원 혈압등 ‘유비쿼터스 진단’ 추진
“신뢰성 의심” 정부도 전향적 태도로 바꿔


원격진료ㆍ전자의무기록 등 e헬스 관련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형 병원과 정보기술(IT)업체들이 e헬스와 의료텔레매틱스 분야에 기술과 자금을 투입해 의료체계를 빠른 속도로 업그레이드해 나가고 있다. 서울대학병원의 경우 국가 지원 프로젝트로 지정된 원격진료 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하는 한편 판교신도시에 ‘유비쿼터스 외래진료소’를 운영, 분당병원에서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또 PC기반의 화상회의와 처방, 멀티미디어 전자의무기록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이밖에 대구 계명대학교 의료텔레매틱스 사업단도 원격진료 및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IT업체들 중에는 한국IBM이 e헬스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중이다. 한국IBM은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지 않고, 일상 생활을 하면서 원격진료 시스템으로 모니터링을 받다가 이상이 있을 경우에만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IBM은 이와 함께 환자의 몸에 간단한 장치를 부착, 혈압ㆍ혈당ㆍ심장박동수ㆍ심전도 등을 실시간 파악해 의료컨설팅을 실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IBM은 피츠버그 메디컬센터와 지능형 병원 응용 프로세스분야에서, 스위스 취리히 랩과는 원격진료 시스템 부문에서 협력하고 있다. 또 모토롤라ㆍ소니와는 휴대폰에 소프트웨어를 탑재, 라이프재킷에 연결해 혈당량을 파악 하는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e헬스나 의료텔레매틱스 시장이 오는 2015년까지 34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헬스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관련 법이나 제도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이정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국내에서 원격진료 서비스가 활성화 되려면 정부가 나서 법이나 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해야 한다”며“현행 법규로는 사실상 원격진료 행위가 어려워 증세가 경미한 환자의 건강체크 정도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그간 신뢰성 문제로 원격진료 도입에 신중을 기했지만 이제는 미래사회를 준비한다는 차원에서 e헬스 사업에 접근하고 있다”며 “원격진료ㆍ전자의무기록 등 여러 분야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전향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