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발행일 전 거래' 가능해진다

8일 발행 5년물에 첫 적용

기획재정부는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 변동성에 대비하고 국채 발행 및 유통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발행일 전 거래시장(When Issued Market)'을 12월부터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발행일 전 거래시장은 신규 발행 예정인 국채의 발행 공고 시점부터 발행일 전까지 사흘 동안 거래하는 시장으로 입찰 수요를 미리 파악함으로써 시장 수급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기재부는 지난 8월 도입 근거를 마련하고 거래소에 매매 시스템을 구축했다.

기재부는 8일 발행되는 국채 5년물을 대상으로 처음 적용된다고 밝혔다. 국채 전문 딜러들은 3일부터 사흘 동안 (3·4·7일) 발행일 전 거래에 참여할 수 있다. 딜러들은 입찰 전 금리 탐색, 금리 변동 및 입찰 물량 보유 위험에 대한 리스크 헤지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영국·일본·프랑스 등 선진시장과 중국·인도·싱가포르 등 주요 신흥국들은 이미 이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증권사가 필요에 따라 선(先)네고(가격협의) 형태로 일부 거래하고 있지만 은행은 결제 불이행 등의 이유로 금지하고 있어 제도권 시장이 형성되지 않았다. 기재부는 제도화된 발행일 전 거래시장이 열리면 발행 예정인 국채 물량의 수요 파악은 물론 사전 입찰 등을 통해 발행물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종=김정곤기자 mckids@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