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황제' 이제 2자녀 부모로 연 28조 키즈시장 새로 생긴다

■ 중국 35년만에 '한자녀 정책' 폐기



4년내 최대 5200만명 추가출산… "자녀에 아낌없이 지갑 열것" 분석

식품·유아용품서 외식·교육까지… 국내업계 中 공략 발빠른 움직임


'해마다 28조원의 키즈 시장이 새로 생긴다.'

중국이 35년 만에 한 자녀 정책을 폐기하고 자녀 2명을 허용하기로 하면서 중국 유아 시장을 겨냥한 국내외 업계의 관심이 가열되고 있다. 전문가들이 추산하는 경제효과는 연간 1,600억위안(약 28조원) 내외. 국내 유아용품 시장 규모가 27조원임을 감안하면 해마다 중국에 국내 유아용품 시장이 하나씩 더 생기는 셈이다.

30일 중국 언론인 매일경제일보는 전면적인 두 자녀 정책으로 4년 내 2,500만~5,212만명의 신생아가 추가로 태어날 것으로 예측하며 경제효과는 매년 1,600억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신한금융투자도 중국 인구발전연구센터가 분석한 신생아 수와 중국 사회과학원이 제시한 자녀 양육비 통계 등을 토대로 내년부터 4년차까지 매년 31조원, 25조원, 22조원의 유아용품 시장이 생긴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치솟는 교육비 등으로 출산율이 기대 이상으로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지만 이 시장을 바라보는 눈길은 벌써부터 뜨거워지고 있다. 부모 세대가 된 1980년대생들이 중국의 '한 자녀 정책' 아래 태어나 경제성장의 혜택을 누린 '소황제'들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개방적·합리적 사고와 개인·소비지향적 가치관으로 무장하고 있어 두 자녀 정책이 본격화될 경우 관련 시장에 아낌없이 지갑을 열 것이라는 분석이다.

게다가 글로벌화에 거부반응이 없는 세대인 만큼 고품질과 브랜드파워로 무장한 외국 기업에 다시 한번 성장의 문이 열린 셈이다. 특히 최근 몇 년간 한국 시장을 '트렌드의 메카'로 여기는 풍토가 조성된 덕에 이번 기회를 '유아용품 한류 특수'로 연결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일고 있다.

실제로 중국발 키즈 산업의 수혜는 분유·과자·기저귀·유모차 등과 같은 필수식품군 및 유아용품은 물론 외식·화장품·교육·캐릭터·완구·가구·키즈카페·금융·미디어·의약품 등 국내 소비재 업계 전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업체들은 벌써 기민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두 자녀 정책의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 유업계는 중국 분유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 계획이다. 매일유업은 이미 중국 특수분유 시장을 겨냥해 중국 최대 유아식 전문업체인 비잉메이트와 합작사를 설립하기로 협약을 맺었다. 유아동용품 전문업체인 제로투세븐은 두 자녀 정책의 파급력을 예상하고 중국 내 백화점 중심 280여개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며 현지화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2003년 중국 수출을 시작한 이래 10배 이상 성장한 유한킴벌리 기저귀도 또 한번의 중국 신화를 쓸 것으로 예상된다.

외식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오는 2030년까지 해외 매장을 2,000개로 늘리겠다는 계획이 앞당겨질 것으로 봤고 중국에서 최근 3년간 매년 2배 이상 매장을 늘린 미스터피자는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고객이 증가할 경우 성장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아토피 시장을 겨냥해 지난달 중국에 김치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출시한 CJ제일제당은 본격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았다며 쾌재를 부른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등 뷰티 업계도 키즈 시장의 급성장을 기대하는 모습이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산아제한 정책 속에서도 지난 10여년간 6배 이상 성장해 두 자녀 정책의 파급 효과는 쉽게 가늠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국내 스킨케어 화장품에 대한 중국인의 높은 신뢰도를 감안할 때 영유아 화장품 시장의 절반을 미국 존슨앤존슨이 차지한 현재 구도가 깨질 수 있는 적기라는 분석도 나온다.

유통업계도 방한 유커 마케팅은 물론 현지 직구족을 겨냥한 온라인몰 상품 강화 등에 나섰다. 올 들어 중국인 직구 상품의 약 30%가 기저귀·물티슈·세탁세제·아기매트 등 유아용품에 집중돼 있는데 두 자녀 정책이 시행되면 1~2년 내 관련 제품의 수요가 공급을 압도할 정도로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리창안 대외경제무역대 교수는 "두 자녀 정책 허용은 장기적으로는 노동가능 인구를 늘리는 효과가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내수소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원기자heewk@sed.co.kr 베이징=김현수특파원 hskim@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