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시 지하철역 이름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15일 기존 지하철 역명의 병기명을 유상으로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단 내년에 1~4호선과 5~8호선에서 각각 5개씩 10개 역을 선정해 시범운영할 방침이다.
역 이름을 구매할 수 있는 주체는 역에서 500m 이내에 있는 기관과 기업이다. 마땅한 곳이 없으면 역 인근 1㎞ 이내로 확대 가능하다. 역당 1개의 병기명만 판매하고 1회 3년 계약이 원칙이다. 충정로(경기대입구)·잠실(송파구청)과 같이 이미 기존에 병기명이 있는 역은 해당되지 않는다. 현재 307개 역 가운데 61개 역(19.9%)이 병기명을 갖고 있다.
이렇게 판매된 병기명은 출입구 역 명판과 승강장 역 명판, 노선도, 안내방송 등에 반영된다.
역명 구매자는 기준에 맞는 기관이나 기업 중 최고가로 입찰하는 곳이 선정된다. 서울시는 경쟁입찰 방식을 통해 역명을 판매함으로써 지하철 운영기관의 수익 확대를 꾀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를 통해 일부 집단에서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기관과 단체 홍보 목적의 역명 변경 민원으로 인한 행정력 낭비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하철역 병기명 확대와 함께 동일한 역명 개정 민원을 두 차례까지만 지명위원회에 상정할 수 있도록 역명 제·개정 절차를 개정한다.
다만 공공이 이용하는 시설물인 만큼 최고가로 입찰한 기관이 선정한 이름이라 하더라도 공공성을 훼손하는 이름이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기업과 기관은 지하철운영기관인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에 자체 설치될 역명심의위원회를 통해 배제한다.
현재 코레일과 부산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대구지하철공사 등에서는 이미 역명 판매를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부산은 1개 역에 2개 명칭을 병기하며 연평균 5,209만원의 수입을 올린다. 코레일은 58개 역을 1개 역당 연평균 2,100만원에 판매하며 인천과 대구는 각각 18개 역과 10개 역에 1,594만원, 2,173만원을 받고 있다. 대전도 오는 2019년 2호선 개통 시 병기역명을 유상판매할 계획이다. /양사록기자 sarok@sed.co.kr
서울시는 15일 기존 지하철 역명의 병기명을 유상으로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단 내년에 1~4호선과 5~8호선에서 각각 5개씩 10개 역을 선정해 시범운영할 방침이다.
역 이름을 구매할 수 있는 주체는 역에서 500m 이내에 있는 기관과 기업이다. 마땅한 곳이 없으면 역 인근 1㎞ 이내로 확대 가능하다. 역당 1개의 병기명만 판매하고 1회 3년 계약이 원칙이다. 충정로(경기대입구)·잠실(송파구청)과 같이 이미 기존에 병기명이 있는 역은 해당되지 않는다. 현재 307개 역 가운데 61개 역(19.9%)이 병기명을 갖고 있다.
이렇게 판매된 병기명은 출입구 역 명판과 승강장 역 명판, 노선도, 안내방송 등에 반영된다.
역명 구매자는 기준에 맞는 기관이나 기업 중 최고가로 입찰하는 곳이 선정된다. 서울시는 경쟁입찰 방식을 통해 역명을 판매함으로써 지하철 운영기관의 수익 확대를 꾀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를 통해 일부 집단에서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기관과 단체 홍보 목적의 역명 변경 민원으로 인한 행정력 낭비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하철역 병기명 확대와 함께 동일한 역명 개정 민원을 두 차례까지만 지명위원회에 상정할 수 있도록 역명 제·개정 절차를 개정한다.
다만 공공이 이용하는 시설물인 만큼 최고가로 입찰한 기관이 선정한 이름이라 하더라도 공공성을 훼손하는 이름이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기업과 기관은 지하철운영기관인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에 자체 설치될 역명심의위원회를 통해 배제한다.
현재 코레일과 부산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대구지하철공사 등에서는 이미 역명 판매를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부산은 1개 역에 2개 명칭을 병기하며 연평균 5,209만원의 수입을 올린다. 코레일은 58개 역을 1개 역당 연평균 2,100만원에 판매하며 인천과 대구는 각각 18개 역과 10개 역에 1,594만원, 2,173만원을 받고 있다. 대전도 오는 2019년 2호선 개통 시 병기역명을 유상판매할 계획이다. /양사록기자 sarok@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