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희집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제3차 에너지전략포럼에서 '지속성장을 위한 국내 에너지 산업의 대응전략'을 발표하며 "정보통신기술(ICT) 혁명과 기술 진보가 임계점을 지나 가속도가 붙으며 에너지 산업을 근간부터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기차 배터리를 예로 들었다. 기술개선으로 5년 안에 배터리 가격이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는 이 같은 에너지 분야 기술 진보가 스마트 공장과 친환경 에너지타운 등에서도 일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에너지 신산업의 또 다른 축인 신재생에너지의 변화도 거세다. 그는 지난 2010년 이후 태양광 모듈 가격이 연평균 23% 하락하며 투자비용이 줄고 있고 오는 2030년이 되면 유럽연합(EU)의 해상풍력 발전단가가 현재의 절반 수준이 돼 화석연료 발전 중심의 에너지 산업 시대가 저물 것이라고 진단했다.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바뀌고 에너지 신기술이 자동차와 건물 등 사회 전반에 적용되는 시대가 우리 예상보다 더 빨리 오고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관측이다. 그는 "에너지 신산업을 발전시켜 다가올 온실가스 감축시대에 대한 대비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도전적 목표를 설정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새로운 규제와 빠르게 발전하는 에너지 신기술이 앞으로 30년간 화석연료 위주의 에너지 산업을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이제 온실가스 감축은 일부 선진국의 도전적인 목표가 아니라 국제협약에 따라 지켜야 하는 의무가 된다"며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 목표를 세운 우리도 미래 성장동력으로 에너지 신산업 발전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글로벌 저유가 상황을 기회로 삼아 에너지 정책을 화석연료 위주에서 에너지 신산업으로 뿌리부터 바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저유가 시대에는 안정적이고 효율적 에너지 공급이라는 고유가 시대의 틀에 갇힌 정책이 유용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지금의 저유가가 장기적인 정책을 세울 최적의 환경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저유가로 국가 전반의 에너지 비용이 줄어들었고 4년 전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에 시달렸던 전력 수급난도 해소됐다"며 "현재는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펼 수 있는 태평성대 같은 환경으로 전통 에너지 산업 조정 이후 다음 시대에 오는 (에너지 산업) 호황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