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중산층인 10명 중 4명은 은퇴 후 빈곤층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세시대연구소가 최근 조사해 발표한 '대한민국 중산층 보고서'에 따르면 비록 현재 중산층이지만, 은퇴 후 소득단절로 40%의 중산층은 빈곤층으로 추락할 수 가능성이 높다. 통계청이 정의하고 있는 중산층은 중위소득의 50%에서 150% 사이의 소득을 올리는 계층이다. 4인 가족 기준(2014년)으로 187만~563만원 사이의 월 소득을 올리는 계층이 해당된다.
여기서 4인가족이 한 달에 187만원 버는데 '중산층이 맞느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실제 4인 가족이 한 달에 187만원으로 살게 되면 그 생활은 궁핍할 수 밖에 없다. "그런 소득 수준이 중산층이냐"는 거부감이 절로 생긴다. 보건복지부가 매년 생계지원 대상자의 선정기준으로 삼는 최저생계비 166만원(4인 기준)과도 별 차이가 없다.
중산층보다 못한 소득을 올리는, 즉 중위소득의 50% 미만 소득에 그치는 계층을 빈곤층이라고 한다. 결국 중위소득의 50%, 4인 가족 기준으로는 187만원, 이 기준을 넘어서면 중산층이고 미치지 못하면 빈곤층이 되는 것이다. 187만원이 중산층과 빈곤층을 가르는 '경계값'이어서 이 금액을 살짝 넘는 계층의 삶은 실상 빈곤층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결국 소득 기준으로 선을 딱 그어 중산층과 빈곤층을 구분하다 보니 그 경계선에서는 심리적 저항이 생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중산층 하단 경계값에 대한 문제 의식을 보이면서도 노후에는 상당수 중산층이 그 경계선의 소득조차도 올리지 못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데 주목해야 한다. 10명 중 4명이나 그런 생각을 갖고 있다. 중산층 하단 경계값을 조금은 우습게 여기면서도 실상은 그 경계선조차 넘기는 쉽지 않은 것이다. 2인 가구 기준 중산층의 하단 경계값은 132만원이지만 노후에는 젊은 시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도 생활이 가능해 대략 1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릴 수 있다면 중산층으로서 자격은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1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려 노후에 빈곤층으로 하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까. 우선 떠오르는 것은 연금이다. 누구나 아는 이 답을 막상 실천하고 있는 사람은 별로 없다. 중산층의 14%만이 소위 3층 연금(국민·퇴직·개인연금)을 보유하고 있을 뿐이다.
연금 외에 또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또 다른 전략의 최우선 순위는 '일'이다. 은퇴했더라도 어떤 식으로든지 일을 지속함으로써 비록 적은 월급이나마 받을 수 있다면 노후생활에 큰 보탬이 된다. 지금 같은 저금리 상황에서 100만원의 월급을 받을 수 있다면 이는 8억원의 노후자금을 마련한 것과 다름없다. 현재 예금금리 1.5%를 감안했을 때 매월 100만원의 이자를 받으려면 8억원의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은퇴 후 일자리를 구하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다. 더구나 나이가 들어 노동력 자체를 상실할 경우 일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이럴 경우에는 우리나라 가계자산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부동산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주택연금을 활용하거나, 보다 작은 평수로 집을 바꿔 여기서 발생한 여유자금을 노후자금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도 아니면 도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시외로 이사해 생기는 여유자금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은퇴 후 빈곤층으로 하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연금전략을 기본으로 일과 부동산 전략을 복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기존의 '3층 연금전략'을 넘어서 '3층 소득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