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의 최대 뇌관인 가계부채 증가세가 가파른 만큼 총부채상환비율(DTI)에 대한 심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이와 함께 건설사들의 밀어내기식 아파트 분양이 향후 주택시장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8일 발표한 '2015년 3·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 보고서에 담긴 주택시장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94%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총량이 높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KDI는 일반 국민 1,000명과 대학교수 및 국책·민간연구기관 연구원으로 구성된 경제 전문가 402명에게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전문가의 66.3%는 내년에 시행될 예정인 DTI 심사 강화에 찬성 의견을 나타냈다. 규제 강화가 효과를 볼 것이라는 응답도 80.1%에 달했다. 현재 주택담보대출은 주택 매매·분양시장의 호조, 저금리 기조와 DTI 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은행권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8월 중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74조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무려 6조7,000억원이나 불어났다.
아울러 전문가의 84.1%는 4·4분기에도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답했다. 주요 상승 요인으로는 월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전세 공급물량 감소(48.8%)가 꼽혔다. 3·4분기 주택 임대시장은 전세와 월세 가격이 정반대의 행태를 보였다. 전국 전셋값은 전년 동기 대비 5.3%의 상승률을 기록해 전 분기(4.5%)보다 상승폭이 확대된 반면 월세 가격은 전 분기(-0.9%)에 이어 하락세(-0.4%)를 유지했다.
KDI는 과도한 쏠림현상을 보이고 있는 아파트 분양시장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예년 평균을 훌쩍 웃도는 아파트 분양물량이 입주시점인 2~3년 후 주택시장 침체를 다시금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다. KDI는 "올해 아파트 분양물량은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증가해 향후 그 파급효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주택시장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8일 발표한 '2015년 3·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 보고서에 담긴 주택시장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94%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총량이 높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KDI는 일반 국민 1,000명과 대학교수 및 국책·민간연구기관 연구원으로 구성된 경제 전문가 402명에게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전문가의 66.3%는 내년에 시행될 예정인 DTI 심사 강화에 찬성 의견을 나타냈다. 규제 강화가 효과를 볼 것이라는 응답도 80.1%에 달했다. 현재 주택담보대출은 주택 매매·분양시장의 호조, 저금리 기조와 DTI 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은행권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8월 중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74조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무려 6조7,000억원이나 불어났다.
아울러 전문가의 84.1%는 4·4분기에도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답했다. 주요 상승 요인으로는 월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전세 공급물량 감소(48.8%)가 꼽혔다. 3·4분기 주택 임대시장은 전세와 월세 가격이 정반대의 행태를 보였다. 전국 전셋값은 전년 동기 대비 5.3%의 상승률을 기록해 전 분기(4.5%)보다 상승폭이 확대된 반면 월세 가격은 전 분기(-0.9%)에 이어 하락세(-0.4%)를 유지했다.
KDI는 과도한 쏠림현상을 보이고 있는 아파트 분양시장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예년 평균을 훌쩍 웃도는 아파트 분양물량이 입주시점인 2~3년 후 주택시장 침체를 다시금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다. KDI는 "올해 아파트 분양물량은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증가해 향후 그 파급효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주택시장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