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쇼크] 中 "3대 악재'해법 오리무중 "도미노 침체 공포 확산"

■ 충격 진정세에도 리스크 여전
유동성 확대 부담 크고 구조개혁도 험난 '진퇴양난'
위안화 불안까지 겹쳐 성장률 4~5% 그칠 가능성
"되레 증시 거품 해소로 中경제에 藥 될것" 반론도


중국 경기 둔화 리스크가 일상화되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지며 신흥국은 경기 침체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국제통화기금(IMF) 베이징 사무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은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금융 시장 변동, 채무 등 3대 리스크 통제 여부에 따라 경제의 연착륙이 결정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성장률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된다면 그동안 진행됐던 중국의 경제개혁 조치들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했다.


글로벌 경제의 발목을 잡는 중국 경기 둔화의 가장 큰 문제는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는 제조업이다. 세계의 공장이자 세계의 소비 시장인 중국 제조업의 부진은 중국만 바라보는 다른 신흥국의 제조업까지 수렁으로 빠뜨리고 있다.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인도의 1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1로 2013년 10월 이후 처음 기준선인 50 밑으로 떨어졌고 브라질도 45.6에 그치며 향후 경기 전망을 어둡게 했다. 미즈호증권은 "중국의 제조업 경기 둔화가 생산은 물론 그나마 버티고 있는 소비까지 영향을 미칠 경우 신흥국 경기 침체의 도미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리스크가 글로벌 경제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은 IMF가 경고한 3대 리스크에 대한 뾰족한 해법을 아직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질 GDP 성장률 하락은 산업생산과 투자가까지 위축하는 상황에서 당장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 금융 시장 역시 지난 4일 주가 폭락에서 나타났듯 경기 둔화에 대한 불안감과 맞물리며 쉽게 통제되지 않는 상황이다. 여기다 이자보상비율이 1.5 이상에 달하는 등 채무 부담이 급증하고 있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재정을 확대하기도 어려운 진퇴양난에 빠져 있다. 모리스 옵스펠트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구조개혁이 순조롭지 않을 것"이라며 "구조개혁은 디폴트 위기에 빠진 국유 기업의 재무구조, 금융 시장 체질 개선, 분배의 합리성 등에 달렸다"고 지적했다. 옵스펠트는 특히 중국 정부가 위기 탈출을 위해 유동성을 확대하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경제 성장 목표를 달성하려고 신용 팽창 같은 기존 방식에 과도하게 의존한다면 급격한 인플레이션 등 문제를 더 심화시킬 수 있다"고 꼬집었다. 결국 경제개혁만이 중국을 경기 둔화의 늪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해법이지만 당장 기업들이 무너지고 증시가 폭락하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유동성을 풀 수밖에 없다.

씨티은행은 올해 글로벌 경제에서 중국 경제지표 변화를 유심히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씨티은행은 중국의 실질 GDP 증가율이 4~5%에 그칠 가능성이 높은데다 위안화 환율도 부정적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번 증시 폭락이 중국 경제에 약이 될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증시 폭락이 중국 증시에 낀 거품을 빼며 축복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FT는 칼럼에서 중국이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찾기 위해서는 경제 전반에 깔려 있는 고속성장의 부작용을 처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FT는 "지난해 중국 정부가 투자자들이 부풀려진 가격에 주식을 사도록 하는 '교활한 재분배'의 형태로 일반 대중들에게 부담했다"며 "위험성이 높아진 주식 시장에 더 이상 땜질식 처방이 맞지 않다는 것을 중국 지도부도 알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 경제에 대한 지나친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티브 로치 예일대 선임연구원은 미 경제매체인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경착륙에 대한 공포가 매우 과장됐다"며 "중국을 산업 지표로 판단하는 관념은 시대에 뒤떨어졌으며 서비스 분야가 이미 중국 경제의 51%를 차지하고 있고 산업·건설 분야보다 크다"고 설명했다. /베이징=김현수특파원 hskim@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