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핵무장력 강화해야”

국제사회 제재 움직임에 위협, 내부 결속 목적도
“북 무력시위 결행한다면 시점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 통과될 때”

북한이 제4차 핵실험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시험 장면 공개에 이어 ‘핵무장력 강화’를 내세웠다. 미국의 B-52 전략폭격기 한반도 전개 등 국제사회의 제재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 대외 위협과 내부 결속의 목적을 담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적들이 우리의 자주권을 침해하고 위협적인 도발을 감행한다면 미제를 괴수로 하는 제국주의세력에게 핵공격을 가할수 있게 핵무장력을 질량적으로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제1위원장은 지난 12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수소탄 시험 성공’ 핵 과학자 등에 대한 당 및 국가표창 수여식에서 이 같은 발언을 내놓았다.

그는 “미제와 그 추종세력들이 악착한 경제봉쇄와 군사적압박으로 우리 제도를 붕괴시키려고 피눈이 되여 사면팔방으로 달려들고 있다”면서 “적들이 칼을 빼들면 장검을 휘두르고 총을 내대면 대포를 내대는 강인담대한 정면돌격전을 벌려 적들이 최강의 핵보유국인 우리를 똑똑히 알게 하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에서 강도 높은 대북 제재 방안이 결정되거나 미국의 전략무기가 추가로 한반도에 전개될 경우 무력시위에 나설 것이라는 위협의 의미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의 무력시위가 결행된다면 그 시점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이 통과될 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일본경제연구센터는 이날 공개한 ‘북한 리스크와 한일협력’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미국의 선제공격에 대비해 최저 100발 이상의 핵무기 확보를 목표로 개발을 계속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박경훈기자 socool@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