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는 심해저에서 채집한 망간단괴를 파이프 등을 이용해 물 위로 이송하는 '양광 시스템'을 개발해 실증시험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망간단괴는 수심 5,000m 내외 심해에 부존하는 감자 모양 광석으로 첨단산업 기초소재로 쓰이는 니켈·코발트·구리 등 전략금속을 많이 함유해 '해저의 검은 노다지'로 불린다. 그동안 심해저에서 망간단괴를 끌어올렸지만 상용화할 만큼 충분한 양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은 처음이라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지난달 14∼24일 경북 포항 남구 구룡포 북동쪽 35㎞ 지점, 수심 1,200m 해역에서 양광 시스템 실증시험을 했다. 연구진은 실제 상용화 규모의 5분의1 정도 규모로 축적해 망간단괴를 생산하는 파일럿 양광 시스템을 개발해 실증시험에 이용했다.
이번 실증시험 성공으로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망간단괴 개발기술 상용화를 선도할 계기를 마련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정부가 1994년 태평양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사업을 시작한 지 20여년 만에 사업 상용화에 필요한 채광 핵심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정부는 2002년 국제해저기구(ISA)로부터 하와이 동남쪽 클라리온-클리퍼톤(C-C) 해역에 독점 탐사광구 7만5,000㎢를 확보해 망간단괴 탐사와 기술개발을 추진했다. C-C 해역 탐사광구에는 망간단괴 5억6,000만톤이 부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연간 300만톤씩 100년 넘게 캘 수 있는 양이다.
해수부는 망간단괴 양광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마치면 연간 2조원 이상의 수입 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해수부는 망간단괴 상업생산을 2020년대에 시작해 2030년대에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re@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