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신문과 인터파크 플레이디비가 최근 공연 관람객 992명을 대상으로 ‘관크 경험’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98.5%가 관크로 방해를 받았다고 답했다. 빈번한 관크 유형(복수응답)으로는 벨소리·진동·불빛 등 휴대폰 관련 문제가 28.2%로 가장 많았고, 잡담(25.0%), 시야 방해(19.9%), 지각입장(13.1%)이 뒤를 이었다. 향수·화장품·담배 등 냄새(6.0%)와 음식물 섭취(4.0%)를 지적하는 답변도 있었다.
관람 방해에 대해 직접 문제를 제기하는 관객은 예상외로 적었다. 별 대응 없이 ‘그냥 내버려둔다’는 답변이 10명 중 4명(40.7%)이나 됐고, 직접 시정을 요구한다는 사람은 32.5%, 공연장 관계자에게 불편사항을 전달한다는 응답은 26.8%였다.
타인으로부터 관크 지적을 받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6.9%에 불과했다. 시정 요구 여부와 상관없이 본인이 공연장에서 했던 비매너 행동 유형을 묻자 과반(58.5%)이 ‘없다’고 답했고, 지각(22.4%), 잡담(7.8%), 휴대폰(6.1%), 시야 방해(4.0%)가 뒤를 이었다. 휴대폰 관련 사항이 관크 피해 유형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응답자 대부분은 공연 중 휴대폰 전원을 끈다(91.9%)고 답했다. 결국 일부의 부적절한 행동이 선량한 다수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는 셈이다. 공연장 관계자는 “좁은 간격을 두고 관객 여럿이 관람하기 때문에 미미한 소음이나 시야 방해도 관람 분위기를 크게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나치게 예민한 관객도 문제이긴 하다. 주변 사람의 작은 움직임에도 문제를 제기하며 얼굴을 붉히는 것이다. 신경쇠약증이 있던 남자 관객이 ‘옆에 앉은 여자 관객의 무릎이 공연 중 자신의 다리에 닿았다’며 성추행 문제를 제기하거나 등받이를 발로 차는 문제로 앞뒤 관객이 멱살잡이해 경찰이 출동하는 식이다.
공연장들은 관객의 배려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영신 블루스퀘어 공연운영 팀장은 “일각에선 공연장 내 전파 차단, CCTV 설치 등 강력한 수단을 요구하지만, 지금 이상으로 관객에게 관람 태도를 강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기본적인 권장 사항이 갖는 한계는 서로에 대한 배려로 극복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송주희기자 ssong@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