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변성' 환자 흡연땐 실명 확률 7배

송수정 강북삼성병원 교수팀 연구

자칫 실명까지 이어지는 '황반변성' 환자가 담배를 피우면 증상이 악화할 위험도가 무려 7배 수준으로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송수정 강북삼성병원 안과 교수팀은 초기 황반변성 환자 172명을 대상으로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초기 황반변성을 진단받은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의 악화 정도를 추적 조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황반변성은 눈 안쪽 망막 중심에 있는 신경조직 기능이 감소하면서 생기는 질환으로 심하면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연구팀은 건감 검진에서 초기 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172명 중 악화하는 비율을 분석, 5년 후 약 20% 정도가 황반변성 증상이 악화한 것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 상당수는 흡연자거나 고혈압을 앓고 있는 사람이었다. 흡연은 초기 황반변성 환자의 악화 위험도를 무려 7배 수준으로 높이는 주요인이었다. 또 고혈압 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황반변성 악화 비율이 약 10배나 됐다.

송 교수는 "황반변성 진단을 받은 대부분 환자가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약을 비싼 값을 치르고 복용하고 있다"면서 "약에 의존하기보다는 질환의 악화도를 높이는 생활습관을 바꾸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민정기자 jeong@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