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점인 듯 대리점 아닌…이통사 '판매점 직영화' 논란

특정 판매점 선정 임차료 등 지원
불법 영업 등 유통시장 교란 우려



최근 서울의 한 휴대전화 판매점에서 직원이 손님에게 중저가 스마트폰을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동통신사들이 휴대폰 판매점을 직영화하는 방식의 영업을 강화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판매점은 한 사업자의 서비스만 취급하는 대리점과 달리 3사의 서비스를 모두 취급한다. 하지만 통신사별로 명칭에 차이가 있는데 일부 판매점을 ‘전략점’, ‘파트너’등으로 선정, 자사 상품 판매 위주로 구조개편을 단행 하는 것이다. 파트너들에게는 차등된 판매수수료 지급, 매장 임차료 지원 등 일반 유통망과 차별화된 혜택도 주어지고 있어 이동통신 유통시장을 교란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A사는 본사 차원에서 500~1,000여곳의 ‘파트너 판매점’을 별도로 선정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사 대리점에 6개월 이상 근무를 한 직원이나 이들에게 추천을 받은 소위 ‘우호적인 사람’이 개점한 매장이 신규 선정 기준이다. 전략 판매점에는 월 판매 실적에 따라 판매수수료가 별도로 차등 지급되며 매장 임차료나 인테리어 비용, 인건비 등도 지원된다.

업계는 이렇게 지원된 자금이 불법 영업 행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일반 유통망 대비 우월적 경쟁력을 갖게 돼 유통시장을 교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5월부터 이통3사가 중소 유통점과의 상생 협력 방안으로 시행하는 직영점의 일요일 휴무에 대응하기 위해 이같은 방식의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이통사 한 관계자는 “페이백 등 불법 영업이 사회 문제화되고 규제기관의 조사가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보안 관리 강화를 위해 판매점을 직영화하고 있는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별도 타깃 정책을 운영하는 등 규제기관의 눈을 피한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Atk 측은“통신사별로 본사 차원에서 전략판매점을 운영해 차등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은 잘하는 매장을 대상으로 많이 도와달라는 개념으로 파트너 관계를 맺는 수준”이라며 “이같은 영업 방식은 정도 차이만 있지 이통3사 공통으로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경쟁사의 경우 더 많은 직영 판매점을 운영하고 있다는 게 A사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경쟁사인 B사와 C사 측은 “본사 차원에서는 판매점 직영화가 이뤄진 적 없다”며 “일부 대리점들이 특정 판매점에 차등적으로 판매수수료를 지급할 수는 있지만 일부 본사가 직접 개입하는 것은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권용민기자 minizza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