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서울포럼 2016] "4차 산업혁명 열쇠는 데이터…규제 풀어 개방·접근성 높여야"

서울경제TV SEN 'AI, 4차 산업혁명 미래' 특별좌담

다음달 11일부터 열리는 ‘서울포럼 2016’에 앞서 열린 특별기획 좌담회에 참석한 김문상(왼쪽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공지능로봇기술개발사업단장과 사회를 맡은 홍현종 서울경제TV 해설위원,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 감동근 아주대 전자공학과 교수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분야에 대해 대담하고 있다. /권욱기자


참석자: 김문상 KIST 책임연구원,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 감동근 아주대 전자공학과 교수
사회: 홍현종 서울경제TV 해설위원


전 세계는 지난달 9일부터 15일까지 이어졌던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알파고의 바둑대결을 아직도 기억한다. 수억명의 시청자들은 대결을 보며 AI 기술이 주도하는 제 4차 산업혁명이 바로 앞에 다가왔다고 느꼈다. 반면 AI가 지식노동자의 일자리까지 집어삼키면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서울경제신문의 자매 매체인 서울경제TV SEN은 다음달 11일부터 이틀간 열릴 ‘서울포럼 2016’에 앞서 ‘AI,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주제로 지난 26일 특별좌담회를 기획했다. 이 자리에는 서울포럼 2016 연사이자 인공지능로봇기술개발사업단장이기도 한 김문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과 감동근 아주대 전자공학 교수,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 교수가 참석했다. 감 교수는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로 미국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주는 젊은 우수 공학자상을 받았고 이 교수는 미국 인공지능학회에서 두 차례 혁신적 AI 응용상을 수상했다. 참석자들은 “AI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은 빅데이터를 토대로 한 풍성한 산업 생태계 구축에 달려 있다”며 “한국은 데이터 인프라만 있을 뿐 데이터 이용의 자유도도,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역량도 모두 낙제점”이라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홍현종 서울경제TV 해설위원 사회로 진행된 이번 좌담회의 주요 내용을 정리했다.

이세돌-알파고 반상대결 계기로

AI 등 4차 산업혁명 관심 높아져

데이터 생태계 구축 시급하지만

클라우드서비스 등 규제 여전하고

개방성·개인정보보호 낙제 수준

기업도 고객 데이터 활용 고민을



△홍현종 위원=이 9단이 알파고에 1승4패로 무릎 꿇는 모습을 보면서 가진 의문은 AI가 정말 인간의 창조성까지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느냐는 것입니다. 1997년에는 IBM의 AI ‘딥블루’가 세계 체스 챔피언을 꺾었고 2011년 역시 IBM의 왓슨 컴퓨터가 TV 퀴즈쇼에서 인간 참가자를 이겼는데 현재 AI 기술의 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김문상 연구원=알파고는 ‘딥러닝’이라는 최신 기술을 접목해 이 9단을 누를 수 있었습니다. 딥러닝을 기반으로 경우의 수를 줄이면서도 전체 판세를 잘 가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웠죠. 여기에는 1,020여대 컴퓨터를 병렬로 연결해 1분 만에 슈퍼 컴퓨팅이 가능할 정도로 정보통신기술(ICT)이 발달했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다만 컴퓨터는 여전히 ‘규칙’에 지배받는 기계일 뿐 창조성을 가졌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알파고가 없던 수를 낸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알파고-이 9단 대국 이후 바뀐 것은 지능형 컴퓨터의 쓰임새가 확 넓어질 계기가 마련됐다는 점입니다.

△홍 위원=그렇다면 AI 기술이 일으킬 4차 산업혁명은 어떤 모습일까요. 기존 산업혁명과는 어떻게 다를까요. 지금까지는 기계가 인간의 신체노동을 대체해왔다면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정신노동까지 대체한다고 볼 수도 있을 텐데요.

△이경전 교수=자동차 길 찾기 기능, 자산운용을 해주는 로보어드바이저 등 이미 AI가 들어와 있는 분야는 많습니다. AI 같은 기술은 인간 두뇌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넓게 보면 4차 산업혁명은 AI에 의한 인간 두뇌의 확장 외에도 사물들의 스마트화인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기술의 혁신까지 포괄한 개념입니다.

△홍 위원=AI가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의 긍정적 파급효과와 부정적 파급효과는 어떤 게 있을까요.

△이 교수=기술의 발전은 기본적으로 긍정적입니다. 바이오 혁명은 건강한 노령사회를 만들고 AI는 우리를 노동에서 해방 시킬 것입니다. 사라지는 직종이 있겠지만 새로운 일의 형태도 만들어지겠죠. 알파고 이후 ‘알파변호사’ ‘알파의사’가 나오며 지식노동자마저 일자리를 뺏긴다는 우려도 있지만 AI가 핵심적 지식노동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으로 봅니다. 물론 기술 발전 때문에 권력이 개인의 사생활을 더욱 쉽게 감시할 수 있다거나 사회 전반적으로 인간의 신체·지적 능력이 폄하될 수 있다는 점은 염려스럽습니다.

△김 연구원=덧붙이자면 AI가 변호사나 의사를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AI의 도움으로 변호사 1명이 10명분의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은 사실입니다. 즉 그만큼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이죠.

△홍 위원=영화에서 보는 것처럼 인간의 형태를 하고 인간처럼 사고하는 휴머노이드의 등장은 언제쯤 가능할까요.


△감동근 교수=알파고처럼 특정 분야에서 인간보다 뛰어난 AI를 ‘약한 AI’라고 하고 인간의 사고방식을 그대로 구현하는 AI를 ‘강한 AI’라고들 합니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오는 2045년 AI가 인간의 지능과 완전히 같아지는 특이점이 온다고 했는데요. 하지만 회의론자들은 자의식의 작동 원리도 모르는데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겠냐고 지적합니다. 다만 알파고·딥블루 같은 AI를 여러 개 결합하면 인간의 두뇌를 흉내라도 내는 AI가 나올 것이라는 구상도 있죠.

△홍 위원=이번 이 9단-알파고 대결을 계기로 정부도 부랴부랴 AI 육성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한국이 ICT 분야에서 기술력이 압도적이라고 하는데 AI는 어떤가요. 5년 내 알파고보다 3~5배 빠른 슈퍼컴퓨터를 만들고 지능정보산업에 1조원을 투자한다, 연구개발(R&D) 규제를 풀겠다 하는데 옳은 방향이라고 보십니까.

△김 연구원=AI가 주목받는 이유는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 때문입니다. 데이터 기술이 최근 발달하면서 데이터를 가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해졌는데 이를 토대로 AI를 비롯한 각종 신산업들이 성장할 수 있게 된 거죠. 빅데이터 기술이 바로 제4차 산업혁명의 뿌리인 셈입니다.

한국이 데이터 인프라 선진국인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AI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데이터 기술을 토대로 한 생태계 구축입니다. 정부의 대책에 그런 고민이 녹아들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 교수=정부가 대책의 일환으로 국책 연구기관인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세운 일은 잘했다고 봅니다. 하지만 신산업 생태계 구축의 관점에서 보면 개인정보나 클라우드서비스와 관련해 불필요한 규제가 아직 많습니다. 규제가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을 옥죄는 꼴이죠.

△감 교수=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서 AI 서비스 진출을 시도하는 국내 기업들은 공공 의료 데이터에 접근하려고 하면 환자의 동의를 일일이 받아야 합니다. 그만큼 국내 개인정보 보호제도는 비효율적이죠. 그렇다고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역량이 뛰어난 것도 아닙니다.

△김 연구원=동의합니다. 최근 치매 노인을 돕는 로봇을 연구하고 있는데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수십만건의 치매 노인 관련 데이터에 접근조차 못하는 형편입니다. 오죽하면 한국의 데이터 개방성이 전 세계 꼴찌라는 말도 나오겠습니까. 앞서 말했듯 AI 등 4차 산업혁명의 뿌리는 빅데이터 기술입니다. 데이터 개방부터 우선 이뤄져야 합니다.

△이 교수=기업도 관점을 바꿔야 합니다. 이제 냉장고 한 대를 팔면 수익금뿐 아니라 수십만~수백만건에 이르는 소비자 데이터가 들어오죠. 이걸 무시할지, 아니면 새로운 제조·서비스에 활용할 것인지는 기업의 선택에 달렸습니다.

/정리=이종혁기자 2juzso@sedaily.com

좌담 참석자 소개

●김문상 연구원은

휴머노이드 1세대 연구자

김문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국내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1세대 연구자로 꼽힌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셜 서비스 로봇들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1993년 대전 EXPO에 전시했던 ‘꿈돌이 조각로봇’ 시스템을 비롯해 우리나라 최초의 휴먼로봇 ‘센토’, 이라크에 파병됐던 위험작업 로봇 ‘롭해즈’ 등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인간형 감성 교류 휴머노이드 ‘키보’와 주방로봇 ‘시로스’ 등을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이경전 교수는

美 혁신적 AI 응용상 두차례나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는 과학과 경영학·행정학을 넘나들며 카네기멜론대·고려대·KAIST·서울대 등 다양한 대학에서 연구와 강의를 진행한 경영과학자다. 1995년과 1997년 미국인공지능학회가 주는 혁신적 인공지능 응용상을 두 차례 받았고 2009년에는 마르키스 후스후에 등재됐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적 비즈니스 엔지니어링, 성공적인 비즈니스 혁신 전략 등이 주된 연구 분야다.

●감동근 교수는

퀴즈 인공지능 ‘왓슨’ 개발

감동근 아주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인공지능 중에서도 하드웨어 분야의 전문가다. 1997년 KAIST 물리학과 재학 중 체스 세계 챔피언 카스파로프와 IBM의 인공지능 ‘딥 블루’의 대결을 보고 전자공학으로 연구 방향을 틀었다. 2007년부터 미국 IBM 연구소에서 퀴즈 인공지능 ‘왓슨’을 개발했다. 2013년에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전 세계 35세 이하 과학자 가운데 연구 업적이 뛰어난 한 명에게 주는 ‘젊은 우수공학자상’을 수상했다.

김문상 책임연구원과 감동근 아주대 교수는 다음달 11~12일 개최되는 ‘서울포럼 2016’의 첫 번째 세션 ‘인공지능&휴머노이드’에 모더레이터와 패널리스트로 참석할 예정이다. /성행경기자 saint@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